DOI QR코드

DOI QR Code

Church's Cognition and Christian Counseling in Luther's Church in Korea

한국 루터교회 평신도의 교회인식과 기독교 상담

  • 김옥진 (루터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Received : 2018.09.07
  • Accepted : 2018.10.19
  • Published : 2018.10.28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impact of Christian counseling for the common faith and religious wellbeing within the Korean Luther Church, and to provide church growth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target wa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of a total of 83 members who were attending layman in the ${\bigcirc}{\bigcirc}{\bigcirc}$ church, which is affiliated with the Korean Lutheran Church. The research tool used NCD questionnaire for church health diagnosis by the Korea Church Growth Institute for the church growth model and the reliability of Cronbach's ${\alpha}$ in this study was 0.91. The collected questionnaire was tested for correlation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development and growth, and for multiple recursive analysis to confirm factors affecting church development and growth. The results showed that church's services, programs, and atmosphere were highly correlated with development of church, including counseling.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services, programs, and friends, including counseling, was highly correlated with spiritual growth and self-growth, while community activities and mutual communication were low. Therefore, for continuous church growth, the importance of community programs in the church is considered necessary.

본 연구는 한국 루터교회 내의 평신도 의식과 신앙성숙을 위한 기독교 상담, 교회 내 프로그램의 영향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한 교회성장요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한국 루터교단에 소속되어 있는 ${\bigcirc}{\bigcirc}$교회에 출석하는 평신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83부의 설문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로는 한국교회성장연구소의 교회건강 진단을 위한 NCD 평신도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신뢰도 Cronbach's ${\alpha}$는 0. 91 이었다. 종속변수에 해당하는 교회발전과 성장은 교회발전 성장, 교회발전 목표, 교회발전 조직으로 측정하였고, 독립변수인 교회프로그램과 기독교상담에 대해서는 지도자, 의례, 공동체, 사역/프로그램, 개인적 믿음/가치관으로 측정하였다. 회수된 설문은 교회발전과 성장과의 상관성을 검증을 위해 상관성 검증을 실시하였고, 교회발전과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볼 때 상담을 포함한 교회 내 사역 프로그램, 교우와의 관계, 공동체 활동 및 상호소통 등이 영적성장 및 자기성장과 높은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지속적인 교회성장을 위해서는 상담사역을 중심으로 한 교회 내 공동체 프로그램의 중요성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옥진, "기독교상담학을 통한 영성교육의 효과," 루터대학교 교수논문집-신학과 신앙, 제27권, pp.133-153, 2016.
  2. 박형룡, 교의신학교회론 박형룡박사 저작전집 VI, 기독교교육연구원, 1981.
  3. Donald A. McGavran, 고원용역, 교회성장학, 보이스사, 1975.
  4. Wagner C. Peter, Your Church Can Grow, Regal Books, 1984.
  5. D. A. McGavran, Understanding Church Growth, Grand Rapids, Wm. B. Eerdmans Publishing, 1980.
  6. Howard A. Snyder, 이강천 역, 새 포도주는 새 부대에, 생명의말씀사, 2006.
  7. 이병철, 설교와 교회성장, 기독교문서선교회, 2007.
  8. 강대기, 현대사회에서 공동체는 가능한가, 아카넷출판사, 2001.
  9. 이지헌, 개인, 공동체, 교육 II, 교육과학사, 1997.
  10. 이지헌, 개인, 공동체, 교육 II, 교육과학사, 1997.
  11. 강대기, 현대사회에서 공동체는 가능한가, 아카넷, 2001.
  12. 김옥진, "낭만적 거짓과 소설적 진실: 에로스와 종교," 루터대학교 교수논문집-신학과 신앙, 제26권, pp.167-192, 2015.
  13. R. Lawrence, A New Face For The Church, Grand Rapids: Zondervan Publishing House, 1970.
  14. 김옥진, "철학상담의 정체성과 그 한계: 심리상담의 관점에서,"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제18권, pp.13-32, 2009.
  15. 김덕수, 리더십 다이아몬드, 두란노아카데미, 2008.
  16. 충영, 김정모, "기독교인의 교회스포츠프로그램 참여 만족도가 교회성장 기여도, 활용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2권, 제5호, pp.291-302, 2013.
  17. 오경석, "교회 노인교육프로그램으로서의 자서전쓰기 모형 개발," 기독교교육정보, 제45권, pp.203-225, 2015.
  18. 류은정, "마을교육공동체를 위한 지역교회의 역할," 선교와 신학, 제44권, pp.259-288, 2018.
  19. 심수명, "교회성장을 돕는 상담목회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한밀교회를 중심으로," 복음과 상담, 제8권, pp.199-226, 2007.
  20. 전석재, "소그룹중심의 전도전략," 선교신학, 제46권, pp.273-295, 2017.
  21. 김옥진, "욥기를 통해 본 기독교 상담에서의 하버마스 의사소통 합리성에 대한 연구,"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제22권, pp.35-55, 2011.
  22. 김옥진, "크리스토퍼 듀랑의 부조리극과 까뮈의 부조리 소설을 통해 본 실존심리치료의 의의," 루터대학교 교수논문집-신학과 신앙, 제18권, pp.169-193,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