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극장 시즌제 프로그램 운영에 따른 관객 서비스 연구 : AHP 방법론을 기반으로

A Study on Audience Service by Seasonal Program Operation in Theaters: Based on AHP methodology

  • 송혁규 (백제예술대학교 연예매니지먼트과)
  • 투고 : 2019.08.29
  • 심사 : 2019.10.08
  • 발행 : 2019.11.28

초록

극장의 시즌제 프로그램 운영은 극장 경영의 안정성과 관객 개발을 위한 중요 서비스이다. 그러나 국내 극장 시즌제는 도입된 지 20년이 흘렀으나, 해외 극장에 비하여 여전히 실무적으로 정착되지 않았으며 학술적 연구 또한 미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극장에서 제공하고 있는 '시즌제'의 프로그램 서비스와 부가서비스를 요소를 도출하고, 각 속성의 중요도를 산출하여 국내 실정에 적합한 시즌제 서비스 운영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7곳의 극장 시즌제 프로그램 분석을 통해 2개의 상위요인, 7개의 중위요인, 23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연구모형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극장 전문가 14명에게 각 요인의 우선순위를 쌍대비교 설문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 서비스에서는 패키지 및 작품의 구성이 중요하게 나타났으며 부가 서비스에서는 금전적 요소가 중요하게 나타났다. 즉, 시즌제에서 중요한 요소는 프로그램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관객 니즈가 큰 소수의 부가 서비스를 선별적으로 운영하여 관객을 모집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operation of the theater's seasonal program is an important service for the stability of theater management and audience development. However, the domestic theater season system has been around for 20 years, but still has not been established in practice compared to overseas theaters, and academic research is also lacking. Therefore, in this study, the government wanted to draw out elements of 'season system' program services and additional services provided by domestic and foreign theaters, and to calculate the importance of each attribute to suggest a plan to operate a seasonal service suitable for the actual conditions in Korea. Thus, through the analysis of seven theater seasonal programs, a study model consisting of two higher, seven median and 23 lower factors was derived. Based on this survey, 14 theater experts were asked to compare the priorities of each factor. Studies have shown that the composition of packages and works in program services is important, and that monetary factors are important in additional services. In other words, an important element in the seasonal system is judged to be the need to upgrade program services and selectively operate a small number of additional services with large audience needs to attract audiences.

키워드

참고문헌

  1. P. Kotler and J. Scheff, 전석매진, 용호성 (번역). 김영사, 2007.
  2. 김승미, "정기관객제도를 통한 공연 시즌제 활성화 방안 - 국립극장 사례를 중심으로," 연극교육연구, Vol.22, pp.67-97, 2013.
  3. 정달영, "국내 공공 공연장 재정자립도 개선을 위한 시즌티켓(Subscription) 도입방안," 한국연극학, Vol.36, pp.77-103, 2008.
  4. 정순규, 관객 유형에 따른 공연 관람 구매 의사와 관객 개발전략,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5. 고정민, 산업화에 접어든 공연예술, 삼성경제연구소, 2003.
  6. 차민경, 최연식, 이창진, "온라인 미디어 시대의 관객 개발을 위한 문화자본, 정보자본, 사회자본의 활용 전략 연구," 문화경제연구, Vol.18, No.2, pp.99-129, 2015.
  7. 안호상, 공연예술 시즌티켓이 구매행동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8. 김소영, "관객 극대화를 위한 극장의 시즌 프로그래밍 운영방안 연구 : 사례와 전문가 인터뷰를 중심으로," 문화예술경영학연구, Vol.6, No.2, pp.3-24, 2013.
  9. 송혁규, 백보현, "공공극장 법인화에 따른 운영성과 분석," 예술경영연구, Vol.43, pp.185-209, 2017
  10. 황선아, 공공극장의 레퍼토리 시스템 도입 연구 - 아르코예술극장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1. T. L. Saaty,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cGraw-Hill, New York, 1980.
  12. 정승준, 분석법(AHP)을 이용한 관광정책의 우선순위 설정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3. 이상선, 먹는샘물의 평가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 델파이기법(Delphi)과 계층적의사결정방법(AHP)적용,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14. 백보현, 권혁인, "정보자본에 따른 공연예술 소비자 행동분석 : E-TPB를 기반으로," KBR, Vol.23, No.3, pp.1-21, 2019.
  15. 김선정, "무용공연장 서비스 품질과 공연장 만족 및 재관람 의사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8호, p.157,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