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cculturation Strategies of Immigrated Women and Adolescents' Career Development

이주 여성의 문화적응 유형과 청소년기 자녀 진로 지원

  • 강희경 (서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9.11.22
  • Accepted : 2019.12.18
  • Published : 2019.12.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acculturation strategies of immigrant women and the relationship in adolescents' career development. The data were from 2016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1,248 cases. The highest rate was the assimilation followed by integration, separation and marginalization among immigrant women' acculturation strategies. The parenting efficacy, behaviors for career development and parents' support were related with acculturation strategies. The adolescents' career attitudes and perceived career barriers were also related with the acculturation strategies of immigrant mothers. As compared other strategies, assimilation strategy ha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arenting efficacy, behaviors for career development, parents' support, adolescents' career attitudes and perceived career barriers. This study provided some implications for immigrant families with adolescents.

본 연구는 청소년기 자녀를 둔 이주 여성의 문화적응 유형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자녀 진로지원 특성과 청소년 의 진로 관련 행동의 차이를 보고하기 위하여 실행되었다. 분석 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6차년도 자료 중 총 1,248사례였다. 분석 결과 첫째, 이주 여성의 문화적응 유형은 동화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는 통합, 분리, 주변화의 순서로 나타났다. 둘째, 이주 여성의 문화적응 유형에 따른 자녀의 진로지원 특성에서는 부모의 효능감, 진로 관련 행동과 부모의 지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이주 여성의 문화적응 유형에 따른 청소년기 자녀의 진로태도와 진로 장벽 인식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어머니의 문화적응 유형이 동화인 경우 부모 효능감, 진로 관련 행동, 부모의 지지, 청소년 자녀의 진로태도와 진로장벽 인식에서 긍정적인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 자녀를 둔 이주 여성 가족 지원을 위한 자료로 의미를 갖는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2018 인구주택총조사, 2019.
  2. 이도희, "다문화 가족지원 관련 법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7호, pp.650-658,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07.650
  3. J. J. Bigner, Parent-Child Relations-An Introduction to Parenting(7th ed.), Pearson Prentice Hall, NJ, 2006.
  4. 여성가족부, 2018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연구, 2019.
  5. J. W. Berry,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Applied Psychology : An International Review, Vol.46, No.1, pp.5-68, 1997. https://doi.org/10.1111/j.1464-0597.1997.tb01087.x
  6. J. W. Berry and F. Hou, "Immigrant Acculturation and Wellbeing in Canada," Canadian Psychology, Vol.57, No.4, pp.254-264, 2016. https://doi.org/10.1037/cap0000064
  7. 김명숙, 이미현, "다문화가정 부모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제32권, 제1호, pp.19-34, 2019.
  8. 오재연, 김경란, 남민우, "출신국적별 다문화가정 외국인 어머니의 양육행동, 삶의 질,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유아의 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pp.293-319, 2014.
  9. 이래혁, 장혜림,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자녀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양육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의 이중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제66호, pp.65-95, 2019.
  10. 김만호, 일본인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유형이 자녀교육수행에 미치는 영향 : 문화적응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11. 이지영,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부모스트레스가 자녀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가족기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제17권, 제2호, pp.105-125, 2012.
  12. 이은경, "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사회자본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부모양육행동의 구조적 관계," 열린교육연구, 제24권, 제1호, pp.333-355, 2016.
  13. M. J. Cox and B. Paley, "Families as System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48, pp.243-267, 1997.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48.1.243
  14. 이유경, 류재윤, 방흥복, "부모의 긍정적 진로관여가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2호, pp.129-154, 2012.
  15. 신연주, 이경순, "다문화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성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 평생학습사회, 제15권, 제3호, pp.95-120, 2019.
  16. 장혜림,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부모 지지가 자아존중감과 학교적응을 매개로 진로결정성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학교사회복지, 제47권, pp.189-218, 2019.
  17. 김민경, "다문화 가족 청소년의 개인문화적 요인, 부모 및 가족 요인과 진로성숙도와의 관계," 아시아아동복지연구, 제12권, 제3호, pp.35-53, 2014.
  18. 정진경, 양계민, "문화적응이론의 전개와 현황," 한국심리학회지 : 일반, 제23권, 제1호, pp.101-136, 2004.
  19. J. R. Eshleman and R. A. Bulcroft, the Family(12ed.), Allyn & Bacon, Boston, MA, 2010.
  20. 김유숙, 전영주, 김수연, 가족평가 핸드북, 학지사, 2003.
  21. M. P. Nicholas and R. C. Schwartz, 가족치료 : 개념과 방법(7판), 시그마프레스(원전은 2005년에 출판), 2008.
  22. M. J. Cox and B. Paley, "Understanding Families as Systems,"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Vol.12, No.5, pp.193-196, 2003. https://doi.org/10.1111/1467-8721.01259
  23. 오충광, 최혜윤, "가족체계가 대학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진로성숙도와 대학환경 지각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2권, 제11호, pp.517-543, 2015.
  24. 이영남,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여성결혼이민자의 부모 역할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백석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25. A. Gassman-Pines and A. T. Skinner, "Psychological Acculturation and Parenting Behaviors in Mexican Immigrant Families," Journal of Family Issues, Vol.39, No.5, pp.1139-1164, 2018. https://doi.org/10.1177/0192513X16687001
  26.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제 1-7차 조사 데이터 유저가이드, 2018.
  27. D. T. Barry, "Development of a New Scale for Measuring Acculturation : The East Asian Acculturation Measure(EAAM)," Journal of Immigrant Health, Vol.3, Issue 4, pp.193-197, 2001. https://doi.org/10.1023/A:1012227611547
  28. J. Gigaud-Wallston and L. Wandersman, "Development and Utility of the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Scale,"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Toronto, 1978.
  29. 신숙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30. 조아라, 윤성근, 양은주,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진로 관련 행동척도(Korean Parental Career-related Behaviors)의 한국판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제10권, 제10호, pp.389-408, 2013.
  31. 허묘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 척도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32. 김세원, 사회적 지지가 학대경험 아동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33. 이경상, 김진호, 오해섭, 김희진,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 I-조사개요보고서, 한국청소년개발원, 2003.
  34. 김순규, 청소년의 학업중퇴 결정 요인-농촌지역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35. 이기학, 한종철, "진로태도 측정도구의 타당화를 위한 도구," 진로교육연구, 제8호, pp.219-255, 1997.
  36. 이은설, 초․중․고 여학생 진로장벽 척도의 개발 및 구인 타당도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37. 최혜지, "이주 여성의 문화적응 유형과 관련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1권, 제1호, pp.163-194, 2009. https://doi.org/10.20970/KASW.2009.61.1.007
  38. 이지연, 그레이스정, 유조안, "결혼 이주 여성의 문화적응 유형과 영향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32권, 제3호, pp.1-15, 2014. https://doi.org/10.7466/JKHMA.2014.32.3.1
  39. 조혜영, "다문화청소년 진로 지원 개선 방안 모색 연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7권, 제11호, pp.689-699,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