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ath Analysis of General Government Debt to Individual Suicide

국가채무가 자살에 이르는 경로분석

  • 이용환 (남부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 방희명 (남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9.06.10
  • Accepted : 2019.07.31
  • Published : 2019.08.28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a pathway from the general government debt to GDP ratio(GDR) to the age standardized Suicide Rate(suicide rate). The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are GDR, the consumer price index for living necessaries(CPIL), the household debt to GDP ratio(Household Debt), and suicide rate.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standardized data from 2001 to 2015 of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KOSIS) and the path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analysis IBM SPSS 22 and Amos. As a result of the path analysis, the path of GDR-CPIL-Household Debt-Suicide rate, and the direct of effect were in order 0.954, 0.904 and 0.675 were confirmed. The indirect effect of GDR on Household Debt is 0.862, GDR on Sucide Rate is 0.581, CPIL on Suicide Rate is 0.610. Neither of these indirect effect coefficient was significant(p>0.05).

본 연구는 국가채무가 자살에 이르는 경로를 찾고자 하였다. 변수는 GDP대비 국가채무비율(이하 '국가채무비율'), 생활물가지수, GDP대비 가계부채비율(이하 '가계부채비율)과 인구10만명당 연령표준화자살률(이하 '자살률)이며, 국가통계포털의 2001년부터 2015년까지의 표준화한 자료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도구는 IBM SPSS 22와 Amos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국가채무비율-생활물가지수-가계부채비율-자살률의 경로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국가채무비율이 생활물가지수에 대한 직접효과는 0.954이며, 생활물가지수가 가계부채비율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0.904이며, 가계부채비율이 연령표준화 자살률에 대한 직접효과는 0.675로 직접효과가 큰 값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간접효과는 GDP대비국가채무비율이 가계부채비율로 0.862, GDP대비국가채무비율이 연령표준화자살률로 0.581, 생활물가지수가 연령표준화자살률로 0.610이 존재하였으나, p>0.05로써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2_01_01&vwcd=MT_RTITLE&parmTabId=M_02_01_01#SelectStatsBoxDiv, 2019.03.05.
  2.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SSHE130R&conn_path=I3, 2019.03.05.
  3.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205643&efYd=20181211#0000, 2018.12.05.
  4. 보건복지부, 제3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2011-2020], 2011.
  5. 한국경제연구원, 아시아 외환위기의 발생과정과 원인, 1998.
  6. 이인호, 박민선, "국내 신용카드 산업의 역사와 현황," 한국경제포럼, 제8권, 제3호, pp.19-48, 2015.
  7. 신용상, 구본성, 하준경, 이규복, 송재은, 이윤석,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의 분석과 전망, 한국금융연구원, 2007.
  8.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34E01&conn_path=I3, 2019.03.05.
  9. 김민영, 한국사회의 자살률에 관한 분석-지역사회의 사회.문화.경제적 요인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10. 한국자살예방협회, 자살예방기본계획, 보건복지부, 2011.
  11. http://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4010, 2018.12.10.
  12. Durkheim, Emile, Suicide: A Study in Sociology, Nabu Pess, 1952, 황보종우 역, 자살론, 청아출판사, 2017.
  13. 김경환, 일간지 기사 검색을 통한 IMF 전과 후의 자살 양상의 변화,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4. 중앙자살예방센터, 2017 자살예방백서, 보건복지부, 2017.
  15. 보건복지부, 자살예방 국가 행동계획, 2018.1.23.
  16. 김형수, 권이경, "한국 노인자살률과 사회.경제적 요인의 관련성: 1990년-2010년 변화추이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6호, pp.236-245,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6.236
  17. 윤우석, "실업과 소득격차가 자살에 미치는 영향검증 : 1995년에서 2008년까지의 시계열자료분석," 제20권, 제1호, 한국공안행정학회, pp.153-185, 2011.
  18. Shu-Sen Chang, David Gunnell, Jonathan A. C. Sterne, Tsung-Hsueh Lu, and Andrew T. A. Cheng, "Was the economic crisis 1997-1998 responsible for rising suicide rates in East/Southeast Asia? A time-trend analysis for Japan, Hong Kong, South Korea, Taiwan, Singapore and Thailand," Social Science & Medicine, Vol.68, pp.1322-1331, 2009.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09.01.010
  19. 노용환, "자살의 경제학적 분석: 우리나라 시.도별 패널자료를 이용한 접근," 한국경제학회 경제학 연구, 제54집, 제3호, pp.177-200, 2006.
  20. H. Chuang, W. Huang, and Wei-Chiao, "Economics and Social Correlates of Regional suicide Rates," J. of Socio-Economics, Vol.26, pp.277-289, 1997.
  21. 김종섭, "경제위기와 자살 : 한국과 중남미 3개국의 비교," 한국라틴아메리카학회, 라틴아메리카연구, 제23권, 제3호, pp.45-65, 2010. https://doi.org/10.22945/AJLAS.2010.23.3.45
  22. 이윤정, "송인환,"자살과 연관된 경제적 요인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3권, 제1호, pp.56-82, 2015.
  23. 최윤정, 박지연, "생활고와 복지증딘이 한국의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Social Welfare Policy, Vol.41, No.3, pp.155-182, 2014. https://doi.org/10.15855/swp.2014.41.3.155
  24. 노대명, 근로빈곤층의 부채에 대한 질적 연구, 연구 보고서 2017-40,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25. 유경원, "가계부채와 부채원인, 한국의 사회동향 2010," 통계청, pp.123-128, 2010.
  26. 김정욱, 원승연, "가계부채와 소득계층 이동," 한국금융학회, 금융연구, 제30권, 제3호, pp.109-139, 2016.
  27. 박정민, 박호준, 오욱찬, "가계부채가 부부폭력의 위험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사회복지연구, 제48권, 제4호, pp.33-57, 2017. https://doi.org/10.16999/kasws.2017.48.4.33
  28. http://kosis.kr/statisticsList/statisticsListIndex.do?menuId=M_01_02&vwcd=MT_OTITLE&parmTabId=M_01_02#SelectStatsBoxDiv., 2018.12. 10.
  29.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J17005&vw_cd=MT_ZTITLE&list_id=C1_15&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 2018.12.10.
  30.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2KAA608&vw_cd=&list_id=&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 2018.12.10
  31.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34E12&vw_cd=MT_ZTITLE&list_id=D11&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ZTITLE#, 2018.12.10.
  32. 배병렬, SPSS/Amos/LISREL/SmartPLS에 의한 조절효과 및 매개효과분석, 도서출판 청람, 2018.
  33. http://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4010, 2018.12.10.
  34.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60#quick_05, 2018.12,10.
  35. http://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8088, 2018.12,10.
  36. http://meta.narastat.kr/metasvc/svc/SvcMetaDcDtaPopup.do?orgId=101&confmNo=101054&kosisYn=Y, 2018.12.10.
  37. Jessica Kelliher Rabon, Fuschia M. Sirois, and Jameson K. Hirsch, "Self-compassion and suicidal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Serial indirect effects via depression and wellness behaviors,"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Vol.66, No.2, pp.114-122, 2017.
  38. 성소영, 박기환,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살사고의 관계:분노억제와 우울의 이중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건강, 제23권, 제1호, pp.209-230, 2018. https://doi.org/10.17315/KJHP.2018.23.1.011
  39. 정윤덕, "대학축구 선수들의 내적동기에 관한 계층적 회귀분석 모형,"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제23권, 제6호, pp.91-106, 2018.
  40. 이학식, 임지훈,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20.0, 집현재, 2013.
  41. Karin Schermelleh-Engel, Helfried Moosbrugger, "Evaluating the Fi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Tests of Significance and Descriptive Goodness-of-Fit Measures," Methods of Psychological Research Online, Vol.8, No.2, pp.23-74, 2003.
  42. 김태일, "복지지출과 국가부채의 관계:OECD 국가분석과 한국에의 시사점," 한국사회보장학회 추계정기학술대회, pp.53-75, 2011.
  43. 주은선, "세계 경제위기 이후 복지국가의 진로," 사회복지연구, 제42권, 제2호, pp.97-122, 2011.
  44.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59, 2019.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