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oncept and Value of Master Jin Bodhi's Method of Asceticism Related to Practicing Medicine Buddha

진푸티 상사의 약사여래 신행 수행법의 개념과 가치 고찰

  • 김정숙 (동국대학교 대학원 불교학과)
  • Received : 2022.04.04
  • Accepted : 2022.04.23
  • Published : 2022.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Master Jin Bodhi and practicing Medicine Buddha, and to examine the concept and value of the method of asceticism related to practicing Medicine Buddha. Accordingly, as a result of collecting and analyzing a wide range of literature data on Master Jin Bodhi, Master Jin Bodhi was able to capture and present various historical sources of using various method of asceticism based on practicing Medicine Buddha. In addition, the concept and value of the method of asceticism about The Method of Great Illuminated Asceticism, Throwing Five Parts of the Body, and Energy Bagua were considered and presented as representative practices among the various practices taught to modern people in physical and mental weaknesses across the world. This study is of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clearly distinguishes the concepts and unique values of each of the The Method of Great Illuminated Asceticism, Throwing Five Parts of the Body, and Energy Bagua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between Master Jin Bodhi and practicing Medicine Buddha. Nevertheless, this study did not fully reveal the historical causality of the process of expanding Master Jin Bodhi's method of asceticism related to practicing Medicine Buddha, and has limitations in not considering the concept and value of the method of asceticism other than the The Method of Great Illuminated Asceticism, Throwing Five Parts of the Body, and Energy Bagua. Specific methods for further research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진푸티 상사와 약사여래 신행 간의 상관성을 파악하고, 약사여래 신행과 관련한 수행법의 개념과 가치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진푸티 상사에 관한 광범위한 문헌 자료를 수집해 분석한 결과 진푸티 상사가 약사여래 신행에 기초한 각종 수행법을 중생 제도에 활용한 역사적 근원을 다양하게 포착해 제시할 수 있었다. 아울러 진푸티 상사가 창립한 보리선수 기구를 통해 지역·인종·문화 등을 초월해 세계 각지에서 신체적·정신적 위약함에 빠진 현대인을 대상으로 전수하고 있는 각종 수행법 중 대표적 수행법으로 대광명수지법, 오체투지, 팔괘내공 수행법에 대해 그 개념과 가치를 고찰해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진푸티 상사와 약사여래 신행의 상관성 고찰 결과를 기초로 삼아 대광명수지법, 오체투지, 팔괘내공 수행법 각각의 개념과 특유의 가치를 명확히 구분해 내어 이를 상세히 밝혔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학술적 의의를 갖는다. 그럼에도 본 연구는 진푸티 상사의 약사여래 신행 관련 수행법이 확장해 가는 과정의 역사적 인과성을 충분히 밝혀내지 못했고, 대광명수지법, 오체투지, 팔괘내공 이 외의 수행법에 대한 개념과 가치까지 고찰하지는 못했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를 위한 구체적 방법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울리히 벡, 위험사회: 새로운 근대성을 향하여, 새물결, 2014.
  2. 길희성, 인도철학사, 민음사, 1984.
  3. 김선근, "다문화사회에서의 불교수행법 회통으로서의 진푸티상사의 관상법,"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제19권, 제1호, pp.247-333, 2013.
  4. 김선근, "사회통합의 원리로서 진푸티상사의 오체투지관,"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제21권 제2호, pp.5-31, 2015.
  5. 김선근, "현대사회에서 진푸티상사의 자비관,"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제20권, 제2호, pp.9-34, 2014.
  6. 바이이(白衣), 가사(袈裟): 칭장고원 설산에서 크게 득도한 진푸티상사의 특별한 수행기, 삼화, 2013.
  7. 원혜영, "간화선: 마음을 밝히는 몸의 철학,"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제71집, pp.109-134, 2017.
  8. 마성, "사마타와 위빠사나," 고경, 제99권, pp.153-158, 2021.
  9. 샨띠데바(寂天), 샨띠데바의 입보리행론: 보살행에 들어가는 길, 담앤북스, 2021.
  10. 한정섭, 약사신앙, 불교통신교육원, 2000.
  11. 보리선수 홈페이지, https://www.puti.kr/bbs/page.php?hid=m01_01
  12. 진푸티 선사, 심신 광명의 길: 선 수행 입문 가이드, (유)보디트리 프로덕션, 2019.
  13. 김선근, "진푸티상사의 대광명수지법의 수행공덕," 2016년도 한국교수불자대회 자료집, pp.638-667, 2016.
  14. 김선근, 인도철학에서 본 근현대 한국불교 사상가, 동국대학교출판부, 2016.
  15. 진푸티 종사, 팔괘코드, (유)보디트리 프로덕션,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