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Burnout Aspects and Solutions in Movies: Focusing on and

영화에 나타난 번아웃 양상과 해결방식 연구: <꾸뻬씨의 행복여행>과 <잠깐만 회사 좀 관두고 올게>를 중심으로

  • 권상정 (동아방송예술대학교 방송극작과)
  • Received : 2022.03.08
  • Accepted : 2022.04.12
  • Published : 2022.06.28

Abstract

'Burnout', which has been frequently used recently,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expressions representing the psychology of modern people living in fierce competition. In this paper, I approached and analyzed two films, 'Hector and the Search for Happiness' and 'To Each His Own' from the perspective of burnout, which are considered two of the most healing movies for office workers. The symptoms of burnout in the work were lethargy, irritability, anger, insomnia, depression, and suicidal thoughts. In the case of 'Hector and the Search for Happiness' the clash of values from repeated consulting work, and in the case of 'To Each His Own', work overload, performance pressure, and the absence of a community of colleagues were the causes. This burnout state is visually expressed through the dialogues and expressions of the characters, as well as looking down shots of various sizes, low lighting, and placing objects in front of the main character. This intuitively expressed the symptoms of burnout, which is difficult to diagnose.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movie that one of the diagnostic criteria for burnout, such as hobbies, physical activity,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ellow community, helps to get out of burnout.

최근 빈번히 사용되고 있는 '번아웃'은 치열한 경쟁 속에 사는 현대인들의 심리를 대변하는 대표적인 표현 중 하나다. 본 고에서는 직장인들의 힐링 영화로 손꼽히는 '꾸뻬씨의 행복여행'과 '잠깐만 회사 좀 관두고 올게' 두 편을 번아웃 관점에서 접근, 분석했다. 작품에서 나타난 번아웃의 증상은 무기력증, 짜증, 분노, 불면, 우울, 자살 충동 등이었으며, <꾸뻬씨..>의 경우 반복적인 상담업무에서 오는 가치 충돌이, <잠깐만..>의 경우 업무 과부하와 실적 압박, 동료 커뮤니티의 부재 등이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번아웃 상태는 등장인물의 대사나 표정은 물론 다양한 사이즈의 부감쇼트와 낮은 조명, 주인공 앞쪽에 물건 배치 등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 진단이 어려운 번아웃의 심리상태를 직관적으로 표현하고 있었다. 특히 번아웃의 진단 척도인 취미 생활이나 신체활동, 동료 커뮤니티의 유무 등이 번아웃에서 벗어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영화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s://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6/30/2020063000664.html?utm_source=urlcopy&utm_medium=share&utm_campaign=news
  2. http://www.today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2815
  3. 박수정, 김민규, 이훈재, 김도윤, 박봉섭, 정지현, 서정은, 박정열, "번아웃 증후군의 조작적 정의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교육문화연구, 제23권, 제3호, pp.297-326, 2017.
  4. 박수정, 김민규, "한국형 번아웃 증후군 자가진단 척도 표준화 연구," 문화교류와 다문화교류, 통권28호, pp.317-330, 2020.
  5. 임영주, 권순희, "공감적 듣기 전략에 따른 자기 노출의 긍정적 과정 연구-영화 <굿 윌 헌팅> 분석을 중심으로," 화법연구, 제41권, pp.155-188, 2018.
  6. 메리 뱅크스 그레거슨, 앤디황, 이신애 역, 영화, 심리학과 라이프코칭의 거울, 한국코칭 수퍼비전아카데미, 2020.
  7. http://www.f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14076
  8. 이근철, 운동선수 코치의 번아웃 경험탐색 및 척도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6.
  9. 파스칼 샤보, 허보미 역, 너무 성실해서 아픈 당신을 위한 처방전, 함께 읽는 책, 2016.
  10. 정해숙, 김현, 현병환, "직장 내 괴롭힘이 정서적 고갈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사회적 지원의 역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12호, pp.463-476, 2021. https://doi.org/10.5392/JKCA.2021.21.12.463
  11. 박나혜, "관광기업 종사원의 관광경험이 심리적 소진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산업연구, 제15권, 제1호, pp.45-67, 2020.
  12. 최미, 감정노동자의 직업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콜센터 전화 상담원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21.
  13. 요하임 바우어, 전진만 역, 왜 우리는 행복을 일에서 찾고, 일을 하며 병들어갈까, 책세상, 2015.
  14. 정송, 노언경, "한국형 교사 소진 척도 타당화," 교원교육, 제36권, 제2호, pp.271-292, 2020.
  15. 김군수, 일부 개업의의 우울 및 Bournout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박사학위논문, 1995.
  16. 이정언, "번아웃의 경험이 개인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7호, pp.600-608,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7.600
  17. 강민철, 신유형, "비인격적 감독의 선행요인 고찰: 상사의 업무 과부하, Type A 성격, 번아웃이 비인격적 감독에 미치는 영향," 조직과 인사관리 연구, 제43집, 제2권, pp.97-127,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