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Diversity Policy in the Film Industry

영화산업 다양성 정책 현황 및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 김선아 (단국대학교 공연영화학부)
  • Received : 2022.03.03
  • Accepted : 2022.05.02
  • Published : 2022.06.28

Abstract

In the Korean film industry, 'diversity film' was used interchangeably with 'low-budget film' and 'independent/art film'. As the concept of film is transformed into a multi-platform era that expands online and offline, the discussion of media diversity has become important in the film industry as well. At the same time, the movement to expand the inclusion and diversity of minorities in the film industry is also evident. Recently, the global film industry is developing by accepting inclusive film policies based on research and policies from a gender-perspective on female narratives and creatives. This study suggests policy directions to redefine the concept of diversity in the Korean film industry and to expand inclusiveness and diversity for minoritie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discussions on the diversity of various dimensions surrounding the film industry.

한국 영화산업에서 '다양성 영화'는 '저예산영화', '독립·예술영화' 등과 혼용되어 사용됐다. 영화의 개념이 온오프라인의 멀티플랫폼 시대로 전환되며 영화산업에서도 미디어 다양성에 대한 논의가 중요해졌다. 이와 함께 영화산업에서 소수자에 대한 포용성과 다양성을 확대하려는 움직임 역시 뚜렷하다. 최근 세계 영화산업은 활발해진 여성서사와 여성 핵심창작인력에 대한 성인지 관점의 연구와 정책을 기반으로 포용성 영화정책을 수용하며 발전해 가는 중이다. 본 연구는 영화산업을 둘러싼 여러 가지 차원의 다양성에 대한 선행연구와 논의를 바탕으로 한국 영화산업에서 다양성 개념을 재정립하고 소수자에 대한 포용성과 다양성을 확대하기 위한 정책방향을 제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씨네21, "스크린쿼터는 세계 문화다양성 위한 상징적 존재," 2006.10.16.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42073
  2. 영화진흥위원회, 포스트코로나 영화정책 기초보고서, pp.13-148, 2021.
  3. 김면, 윤소영, 송철재, 허준영, 김소희, 문화다양성 실태조사 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2017.
  4. http://www.oecd.org/inclusive-growth/about, 2022.01.05.
  5. 박준, 류현숙, 김성근, 국가포용성지수 개발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p.9, 2021.
  6. United Nations, Transforming Our World: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015.
  7. 임성은, 문철우, 이은선, 윤길순, 김진희, 사회적경제의 사회.경제적 가치측정을 위한 통합 지표개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pp.23-25, 2018.
  8. The World Bank, INCLUSION MATTERS THE FOUNDATION FOR SHARED PROSPERITY, pp.3-4, 2013,
  9. 대한민국 관계부처합동, 2018 정부혁신 종합추진계획, p.13, 2018.
  10. 지속가능발전포털, 국가지속가능발전목표, 2022.01.19. http://ncsd.go.kr/ksdgs?content=2
  11. 지속가능발전포털, UN '2030지속가능발전 의제,' p. 42, 2022.01.19. http://ncsd.go.kr/api/UN-SDGs.pdf
  12. 김호철, 정석, "대학 지역사회 공헌활동의 사회적 가치 연구 - 따뜻한 서울만들기 프로젝트의 사회적 투자수익률(SROI)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제17권, 제2호, p.162, 2016.
  13. 탁현우, 윤건, 이다솜, 포용국가와 책임정부 구현을 위한 사회적 가치 및 사회책임 정책의제와 실행전략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pp.5-6, 2019.
  14. 배진아, 미디어 공진화, 정보인프라와 문화콘텐츠의 융합발전 제6장, 한울아카데미, p.252, 2019.
  15. 문화뉴스, "극장개봉 포기하고 넷플릭스 선택한 한국영화들...'사냥의 시간'부터 '승리호'까지," 2021.01.14. http://www.mhn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5737.
  16. R. Wurff and J. Cuilenburg, "Impact of Moderate and Ruinous Competition on Diversity: The Dutch Television Market," The Journal of Media Economics, Vol.14, No.4, pp.213-228, 2001. https://doi.org/10.1207/S15327736ME1404_2
  17. L. P. Berger, T. Luckmann, 실재의 사회적 구성: 지식사회학 논고, 문학과지성사, pp.45-46, 2013.
  18. G. Gerbner and L. Gross, "Living with television : The violence profile," Journal of Communication, Vol.26, No.2, pp.172-199, 1976. https://doi.org/10.1111/j.1460-2466.1976.tb01397.x
  19. 방송통신위원회, 2018년 미디어 다양성 조사, pp.39-40, 2018.
  20. 조혜영, 김선아, 주유신, 박주영, 한국영화 성평등 정책 수립을 위한 연구, 영화진흥위원회, p.278, 2020.
  21. 영화진흥위원회, 한국영화 미래100년 어젠다 연구 요약본, 2019.
  22. 박채은, 이승민, 최은정, 독립.예술영화의 사회적 가치지표개발 기초연구, 영화진흥위원회, pp.55-97, 2021.
  23. BFI 홈페이지, https://www.bfi.org.uk/inclusion-film-industry/bfi-diversity-standards.
  24. 서선주, 영화진흥사업 내 성평등지수 도입 배경과 쟁점, 영화진흥위원회 이슈페이퍼, 2022.
  25. BAFTA 홈페이지, https://www.bafta.org/about/mission/bafta-and-diversity.
  26. CNC 홈페이지, https://www.cnc.fr/professionnels/actualites/le-cnc-renforce-son-engagement-pour-la-parite-legalite-et-la-diversite-dans-le-cinema-et-laudiovisuel-francais_1083680.
  27. 성찬얼, "다양성을 위한 아카데미의 새로운 작품상 후보 기준 공개에 갑론을박," 씨네플레이, 2022.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9395598&memberNo=31724756
  28. 박경신, 플랫폼은 영화 다양성을 살릴까? : 코로나19로 초래된 영화시장의 플랫폼 변화와 영화 다양성 증진을 위한 법적 접근, 새얼문화재단, p.295, 2020.
  29. 동아일보, "인종차별 철폐를 똑같이 외쳤는데도 넷플릭스는 박수받고, 보그엔 역풍 분 이유," 2021. https://dbr.donga.com/article/view/1202/article_no/9935.
  30. 이정현, 정재형, "넷플릭스를 중심으로 한 국내 OTT 시장의 현황에 따른 독립영화 발전 가능성 모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8호, p.379, 2020.
  31. 김선아, "성 주류화 전략의 관점에서 바라본 성평등 영화정책,"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2호, p.293, 2020. https://doi.org/10.5392/JKCA.2020.20.06.293
  32. 박지훈, 이진, "성소수자에 대한 미디어의 시선:텔레비전에 나타난 홍석천과 하리수의 이미지 유형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문화, 제28호, p.7, 2013.
  33. 행정안전부 홈페이지, https://www.mois.go.kr/frt/bbs/type001/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14&nttId=88648,
  34.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블로그, https://blog.naver.com/ri_freeget/222315639432, 2022.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