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tercultural Comparative Research on Korea-Turkey : Focused on Content Analysis of Turkish Remaking Film

한국 영화 <7번방의 선물> 리메이크를 통해 본 한국-터키 문화 비교 연구 - 터키판 <7번방의 기적>을 중심으로

  • 이은별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디어외교센터) ;
  • 박수현 (한국외국어대학교 터키.아제르바이잔어과)
  • Received : 2022.02.22
  • Accepted : 2022.03.21
  • Published : 2022.06.28

Abstract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the cultural codes of Korea and Turkey represented in the Turkish film remaking the Korean original film. Although both films follow the narrative of resisting the tyranny of public power based on fatherly lov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re revealed depending on the socio-cultural contexts of Korea and Turkey. First of all, Korea and Turkey valued familialism under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and Islam respectively. This was represented as a fatherly love, willing to sacrifice himself for the sake of his daughter. Meanwhile, in the Turkish vers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Islamic identity that encompasses the lives of Turkish people and the consequent human sinfulness and death. In the film, the prisoners repented of their personal sinfulness under Islamic doctrine, and sought salvation by activating the muslim brotherhood. This contrasts with the original work, which uses religion as a humor element that highlights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comedy films, along with the social atmosphere in Korea that allows for the coexistence of various religions. In addition, Turkish one draws on the realistic issues of the military dictatorship of Turkey in the 1980s and the abolition of the death penalty for EU membership, bringing out a film narrative as a drama genre.

본 연구는 한국 영화 <7번방의 선물>과 리메이크작인 터키판 <7번방의 기적>을 통해 영화로 재현되는 한국과 터키의 문화적 코드를 비교·분석하였다. 두 영화 모두 부성애를 바탕으로 공권력의 횡포에 저항하는 서사에 따르지만, 한국과 터키의 사회문화적 맥락에 따라 유사점과 차이점이 드러났다. 우선 한국과 터키는 각각 유교와 이슬람교의 영향하에 가족주의 가치관을 중시하고 있었다. 이는 딸을 위해서라면 자신의 희생도 불사하는 부성애로 재현되었다. 한편 터키판에서는 터키인의 삶을 아우르는 이슬람 정체성과 그에 따른 인간의 죄성과 죽음에 대한 해석의 차이가 나타났다. 영화 속 재소자들은 개인적인 죄성을 이슬람 교리의 가르침에 따라 회개하고, 무슬림 형제애를 발동하여 구원받고자 하였다. 이는 다양한 종교의 공존을 허용하는 한국의 사회적 분위기를 반영하고, 코미디 영화의 장르적 특성을 두드러지게 하는 유머 요소로 종교를 활용하는 원작과 대비된다. 또한, 드라마 장르로 변용된 리메이크작에서는 1980년대 터키의 군부 독재 정권과 EU 가입을 위한 사형제 폐지라는 현실적 이슈를 통해 전반적인 영화 서사를 풀어나간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9S1A5C2A03083114).

References

  1. https://www.aa.com.tr/tr/kultur-sanat/2019daen-cok-izlenen-10-filmden-6si-yerli-yapim-oldu/1687843, 2022.3.16.
  2. O. N. Ozalp, "Where is the Middle East?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Problem of the Middle East as a Regional Subsystem in International Relation," Turkish Journal of Politics, Vol.2, No.2, pp.5-21, 2011.
  3. 이난아, "한국전쟁을 다룬 터키 영화-「북극성」과 「한국의 터키 총검」의 형식적, 내용적 특징을 중심으로," 세계문학비교연구, 제30집, pp.55-79, 2010.
  4. 김성욱, "터키 에르도안, 공분 일으킨 살인에 사형 부활 찬성," 연합뉴스 기사, 2019.8.30. https://www.yna.co.kr/view/AKR20190830141400108
  5. https://data.tuik.gov.tr/Bulten/Index?p=Adrese-Dayali-Nufus-Kayit-Sistemi-Sonuclari-2021-45500, 2022.1.25.
  6. 이희수, "터키의 EU 가입 협상에 따른 이슬람 종교-문화적 갈등과 절충에 관한 연구," 중동연구, 제28권, 제3호, pp.31-60, 2009.
  7. C. Hokins and R. Mirus, "Reasons for the US dominance of the international trade in television programmes," Media, Culture & Society, Vol.10, pp.499-515, 1988. https://doi.org/10.1177/016344388010004006
  8. F. L. Lee, "Cultural discount and cross-culture predictability: Examing the box office performance of American movies in Hong Kong," J. of Media Economics, Vol.19, No.2, pp.259-278, 2006. https://doi.org/10.1207/s15327736me1904_3
  9. 이헌율, 장요문, "한국 영화 중국 리메이크에 나타난 문화적 차이-<수상한 그녀>와 중국판 <20세여 다시한번>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2호, pp272-280, 2017.
  10. 문화체육관광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KOFICE), 2021 해외한류실태조사, 2021.
  11. 오종진, "미디어 산업의 동향과 전망-한류 신흥 시장으로서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진흥원 이슈분석 보고서, 제4호, pp.3-55, 2014.
  12. 치프치트 오즈렘, 한류 영화의 터키 현지화 분석-<7번방의 선물>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1.
  13. 조흡, "[영화이야기] 7번방의 선물," 대한토목학회지, 제61권, 제6호, pp.130-132, 2013.
  14. 전찬일, "[영화(2)] 7번방의 선물, 혹은 국산 코미디 영화에 대한 단상," 공연과리뷰, 제80호, pp.150-157, 2013.
  15. 정은배, "이슬람 공동체 '움마'와 기독교 공동체 '교회'의 정체성 연구," 복음과 선교, 제41집, 제1호, pp.233-286, 2018.
  16. 김대성, "터키의 가족법," 지중해지역연구, 제6권, 제1호, pp.1-30, 2014.
  17. https://sunnah.com, 2021.12.29.
  18. 한국갤럽 조사연구소, 한국인의 종교 현황(1984-2021), 2021.
  19. https://odatv4.com/siyaset/o-soz-bakin-kime-ait-cikti-08081918-166474, 2022.1.25.
  20. 유스프 까르다위, 최영길 역, 이슬람의 허용과 금기, 세창출판사,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