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uest Movement Detection and Analysis System for Integrated Event Venue Operation Management

통합적 행사장 운영을 위한 관람객 동선감지 분석 시스템

  • 권희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컴퓨터공학부) ;
  • 이재원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업경영학부)
  • Received : 2022.02.28
  • Accepted : 2022.04.18
  • Published : 2022.06.28

Abstract

The operation method of offline venues such as local festivals usually has problems such as the absence of real-time events and booth information, wasting time in the process of purchasing and receiving goods, and stagnating the movement of guests. This study increases the convenience of guests and managers by integrating all contents in the venue in the form of booth, thereby increasing the uniformity of event information and the efficiency of booth operation. In addition, a system was designed to minimize movement problems and improve performance by detecting the movement of guests within the venue and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arranging booths based on location data. It has been developed as a low-cost system that measures wireless packets with portable wireless LAN APs and control units. This has advantages in the operation of the venue, which consists of the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of variable booths in a short period of time. It is expected that the integrated operation of the venue will be utilized by linking the movement data of guests to activate visits and increase sales through data-based promotions.

지역축제 등 오프라인 행사장들의 운영 방식은 보통 실시간 행사 및 부스 정보의 부재, 물품 구매 및 수령 과정에서 시간 낭비, 관람객 동선 교착 등의 문제점을 갖는다. 본 연구는 행사장 내의 모든 콘텐츠를 부스 형태로 통합함으로써 행사 정보에 대한 통일성과 부스 운영의 효율성을 높여 관람객과 관리자의 편의성을 높인다. 또한, 행사장 안에서 관람객들의 동선을 감지하고 위치 데이터를 기반으로 부스와 프로그램 배치의 효율성을 높여 동선의 문제를 최소화하며 성과를 높이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휴대형 무선랜 AP와 제어용 유닛으로 무선 패킷을 측정하는 저비용 시스템으로 개발되었다. 이는 단기간에 가변형 부스의 설치와 해체로 이뤄지는 행사장 운영에 장점이 있다. 행사장 통합 운영을 관람객의 동선 데이터를 연계하여 활용함으로써 방문을 활성화하고 데이터 기반 프로모션에 의한 매출증대 효과가 기대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년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육연구진흥과제 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지역축제 | 문화체육관광부, https://www.mcst.go.kr/kor/s_culture/festival/festivalList.jsp
  2. 박기웅, 이재원, "지역 기반 문화축제를 위한 모바일 결제 및 운영 시스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9호, pp.402-410, 2019.
  3. D. K. Yu, K. U. Park, S. M. Kim, and J. W. Le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booth in festival," Korea Contents Association ICCC Conference, pp.19-20, 2016.
  4. 한국인터넷진흥원, 국내외 위치정보기반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 산업동향 보고서, 2018.
  5. 변태우, 장성용, "기술적, 환경적 요소에 따른 비콘 기반 실내 측위 정확도 변화연구,"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제25권, 제2호, pp.21-29, 2016. https://doi.org/10.9709/JKSS.2016.25.2.021
  6. 신건식. 신용현, "하이브리드 알고리즘을 이용한 Wi-Fi 기반의 실내 측위 시스템," 한국항행학회논문지, 제19권, 제6호, pp.564-573, 2015. https://doi.org/10.12673/JANT.2015.19.6.564
  7. http://estimote.com/
  8. 신환섭, 이재원, "2차원 바코드 기반 네트워크 광고 콘텐츠의 설계와 구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7호, pp.376-383,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07.376
  9. https://gigaom.com/2013/09/10/with-ibeacon-apple-is-going-to-dump-on-nfc-and-embrace-the-internet-of-things/
  10. 신환섭, 이재원, "위치문답형 지역광고 기반의 문화정보 서비스 모델링,"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8호, pp.465-472,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08.465
  11. 박기웅, 권희구, 유동균, 이재원, "측정위젯 기반 SNS 광고 중개,"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pp.449-450, 2014.
  12. 이한욱, "온.오프라인 서비스 융합의 핵심 기술; 비콘," 금융결제원 KFTC 지급결제동향, 제242호, Jan. 2015.
  13. MLB앱 Ballpark 홈페이지, http://mlb.mlb.com/mobile/ballpark/
  14. 박기웅, 김성묵, 이재원, "행사 인력 모집 및 이력 관리 시스템," 특허등록번호: 1018208890000, 2018.01.
  15. 이재원, 박기웅, 김성묵, "행사장에 입장한 참석자의 활동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 및 시스템," 특허등록번호: 1019322530000, 2018.12.
  16. 김태민, "지방 공연행사장의 안전관련 법제 고찰 및 정책제언," 한국지방자치연구, 제16권, 제3호, pp.241-266, 2014.
  17. 정원태, 정강환, "지역축제의 효율적 행사장 구성에 관한 연구 -2002 강경젓갈축제를 중심으로-," 이벤트학연구, 제2권, 제2호, pp.211-233, 2003.
  18. 원지영, 박경열, "텍스트 마이닝 및 의미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지역축제 연구 이슈와 지식구조 분석 : 2002~2020년 KCI 사회과학 분야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제33권, 제5호, pp.85-102, 2021.
  19. 한국관광공사, MICE산업 분류구축방안연구, 2017.
  20. 한국관광공사, Korea MICE Industry Outlook 2019 and Beyond, 2019.
  21. 장인우, 국내 MICE 산업의 위기와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과제, KDB산업은행 산은조사월보, 2020.08.
  22. 한국관광공사, MICE 산업통계 조사.연구,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