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Trance Media Using Webtoon on Loyalty and Perceived Pleasur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ommit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

웹툰을 활용한 트랜스 미디어가 충성도 및 지각된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 - 몰입의 매개효과 및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 유범가 (세종대학교 공연영상애니메이션학과 예술경영전공) ;
  • 최은경 (세종대학교 공연영상애니메이션학과 예술경영전공)
  • Received : 2022.04.22
  • Accepted : 2022.05.24
  • Published : 2022.06.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and roles of transmedia such as trailer (i.e., trailer) and webtoon OST (i.e., Original Sound Track), which have recently served as extended content in webtoons.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transmedias using webtoons has increased rapidly, and production and consumption in various directions have been taking place. However, studies on whether these contents lead to positive emotions and attitudes toward webtoons are not actively conducted. Therefore, this paper examined the effect through loyalty and perceived enjoyment, and found that 'increasing immersion in content through transmedia' plays a major role as a major variable. In addi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se mechanisms appear differently by gender, and in the case of women, media consumption tends to be based on emotional signals compared to men, so transmedia will further increase the level of immersion, but webtoon content did not show gender effects on media consumption. This is a meaningful result that shows that in general, media consumption methods according to gender appear differently in webtoons.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directions and implications to keep in mind when planning the production of various transmedias using webtoons.

본 연구는 최근 들어 웹툰에서 확장 컨텐츠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 트레일러(i.e., 예고편)나 웹툰 OST(i.e., Original Sound Track)등의 트랜스 미디어의 효과와 역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최근 몇 년 사이 웹툰을 활용한 트랜스 미디어가 급격히 늘어나며 다양한 방향으로의 생산과 소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컨텐츠들이 과연 웹툰에 대한 긍정적인 정서와 태도로 연결되는 지에 대한 연구들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해당 효과를 충성도와 지각된 즐거움을 통하여 살펴보았으며, 그 기저에 '트랜스 미디어를 통한 컨텐츠에 대한 몰입도 상승'이 주요 변수로서 역할을 하는 것을 밝혀내었다. 더하여 이러한 메커니즘이 성별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 지를 규명하는데, 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하여 미디어 소비를 감정적 정보(emotional signal)를 기반으로 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트랜스 미디어가 몰입의 수준을 더욱 상승 시킬 것이라 보았는데, 웹툰 이라는 컨텐츠에서는 미디어 소비에 대한 성별의 상이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일반적으로 성별에 따른 미디어 소비 방식이 웹툰에서는 달리 나타남을 알 수 있는 의미있는 결과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해당 결과를 기반으로 웹툰을 활용한 다양한 트랜스 미디어 제작 기획 시 유념해야 할 방향성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조희영, "국내 영상콘텐츠에 적용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연구: 웹툰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2, No.3, pp.309-322, 2018.
  2. 유연욱, 서울경제티비 DCC X DRW '왕의 공녀' 웹툰 OST 발표, 2021. https://www.sentv.co.kr/news/view/587624
  3. 김경희, "웹툰을 활용한 드라마 제작의 매체 전환에 관한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대회자료집, pp.243-247, 2018.
  4. 김효정, 연합뉴스, 2020. https://www.yna.co.kr/view/AKR20200915136600005
  5. L. Brannon, "Gender: psychological perspectives," Taylor & Francis, 2016.
  6. D. Iacobucci and A. Ostrom, "Gender differences in the impact of core and relational aspects of services on the evaluation of service encounters,"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Vol.2, No.3, pp.257-286. 1993. https://doi.org/10.1016/S1057-7408(08)80017-4
  7. 매일경제, 단신 천리안, 만화사이트 개설, 매일경제. 2000.08.08.
  8. 유승엽, 김은희, "웹툰 맥락과 광고형태 및 게재위치에 따른 웹툰 속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20, No.1, pp.1-30, 2019.
  9. 장병호, 이데일리, 2021.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545286629216856&mediaCodeNo=257&OutLnkChk=Y
  10. 윤선영, 디지털타임스, 2021.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21080302101031820001&ref=naver
  11. 이진, "트랜스미디어를 활용한 게임 마케팅 콘텐츠 연구,"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No.57, pp.1-26, 2019.
  12. 윤혜영, 트랜스미디어 스토리월드 구현 동력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1.
  13. 곽기영, 옥정봉, "온라인 커뮤니티 몰입의 브랜드 충성도로의 전이: 사회정체성이론의 관점,"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70-107. 2010.
  14. T. S. Teo, Demographic and motivation variables associated with Internet usage activities, Internet Research, 2001.
  15. H. Chen, R. T. Wigand, and M. Nilan, "Exploring web users optimal flow experiences," Information Technology & People, Vol.13, No.4, pp.263-281, 2000. https://doi.org/10.1108/09593840010359473
  16. 전종우, "브랜드웹툰의 감성 설득 모델 (affective persuasion model) 에서 공감과 전송의 매개효과,"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Vol.20, No.2, pp.171-197, 2019. https://doi.org/10.22876/BNC.2019.20.2.005
  17. 전종우, "광고 몰입과 공감이 국내 대학생들의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사회와미디어, Vol.21, No.2, pp.71-90, 2020.
  18. J. D. Lewis and A. J. Weigert, "Social atomism, holism, and trust," The sociological quarterly, Vol.26, No.4, pp.455-471, 1985. https://doi.org/10.1111/j.1533-8525.1985.tb00238.x
  19. 이양수, 김병성, 김해룡,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협력회사 구성원의 신뢰와 관계몰입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7, pp.201-213, 2020. https://doi.org/10.14400/JDC.2020.18.7.201
  20. E. Anderson and B. Weitz, "The use of pledges to build and sustain commitment in distribution channel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29, No.1, pp.18-34, 19920 https://doi.org/10.2307/3172490
  21. M. Lee and L. F. Cunningham, "A cost/benefit approach to understanding service loyalty," Journal of services Marketing, 2001.
  22. 이상종, 변현수, "게임 이용자의 동기부여와 몰입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7, No.5, pp.207-215, 2019. https://doi.org/10.14400/JDC.2019.17.5.207
  23. 이제원, "무인점포의 고객만족과 신뢰, 관계몰입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고객만족경영연구, Vol.23, No.2, pp.89-109. 2021.
  24. S. Kotler, The rise of superman: Decoding the science of ultimate human performance, Houghton Mifflin Harcourt, 2014.
  25. M. Csikszentmihalyi, Beyond Boredom and Anxiety, San Francisco : Jossey-Bass, 1975.
  26. B. J. Pine and J. H. Gilmore, Welcome to the experience economy, Harvard Business Review, Vol.8, No.1, pp.97-105, 1998.
  27. 김혜영, 안보섭, "온라인 1인 미디어 개인방송 BJ 에 대한 매력도와 신뢰성이 미디어 채널에 대한 시청 몰입, 상호 작용성, 인지된 즐거움과 이용자의 반응에 미치는 효과 연구," 광고연구, Vol.118, pp.78-126, 2018.
  28. 박성제, 이제욱, "e 스포츠 중계를 통한 프레즌스 경험이 즐거움, 몰입 및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75, pp.253-265, 2019.
  29. 장성복, "브랜드 경험의 매개역할에 따른 스마트폰 사용자 경험 (UX) 이 사용자 만족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구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논문집), Vol.55, pp.125-136, 2018.
  30. J. Meyers-Levy and B. Sternthal, "Gender differences in the use of message cues and judgment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28, No.1, pp.84-96, 1991. https://doi.org/10.1177/002224379102800107
  31. A. F. Hayes, "Partial, conditional, and moderated moderated mediation: Quantification, inference, and interpretatio," Communication monographs, Vol.85, No.1, pp.4-40, 2018. https://doi.org/10.1080/03637751.2017.1352100
  32. L. Toussaint and Jon R. Webb, "Gende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nd Forgiveness,"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Vol.145, No.6, pp.673-685, 2005. https://doi.org/10.3200/SOCP.145.6.673-686
  33. H. Van der Heijden, User acceptance of hedonic information systems, MIS quarterly, pp.695-704, 2004.
  34. 김준혁, 파이넨셜뉴스, 2021, https://www.fnnews.com/news/202112061750466952
  35. 엄명용, "상호작용성이 유희성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Steuer 의 상호작용성을 중심으로," e-비즈니스연구, Vol.14, No.5, pp.73-90, 2013. https://doi.org/10.15719/GEBA.14.5.201312.73
  36. 이종선, 장준천, "TV 프로그램의 인게이지먼트가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 광고연구, 여름호, pp.156-186, 2009.
  37. V. A. Zeithaml, L. L. Berry, and A. Parasuraman, "The behavioral consequence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marketing, Vol.60, No.2, pp.31-46, 1996. https://doi.org/10.2307/1251929
  38. G. R. Jeon, "Characteristics of Transmedia Contents Textuality and Usage,"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10, No.2, pp.243-250,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0.10.9.243
  39. 한창완, 홍난지, "웹툰의 영화화를 위한 스토리텔링 연구: 웹툰<이끼> 의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2, pp.186-194,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2.186
  40. 이강유, 성동규, "유튜브 이용자의 몰입경험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12, pp.660-675,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12.660
  41. 이종만, "이러닝에서 사회성, 사용용이성, 유용성, 즐거움이 수용의향에 미치는 영향 연구: 확장된 기술수용모델 관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4, pp.417-425,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4.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