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sh-pull Motivation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3초

자녀 동반 가족여행에서의 Push-pull 동기, 경험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arent-child Travel Push-pull Motivation, Experience on Behavioral Intention)

  • 위옥천;박근수;유항유;조혁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462-473
    • /
    • 2021
  • 중국의 사회 발전에 따른 가족 구조의 변화와 가족 소득의 증가로 자녀 동반 가족여행은 점차 관광소비 분야의 각광받는 새로운 트렌드가 되고 있다. 관광마케터들에게 자녀를 동반한 가족여행자들의 요구와 동기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는 농장으로 여행하는 자녀 동반 가족관광객 2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녀 동반 가족 여행자의 Push-pull 동기를 분석하고 Push-pull 동기와 경험, 행동의도 사이의 영향 관계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3개의 push 동기 항목에 대한 요인 분석에서 '어린이 & 가족', '도피 & 휴식', '사회화'의 3개 push 동기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11개의 pull 동기 요인을 분석하여 '시설 & 안전', '테마추구 활동', '환경'의 3개의 pull 동기 요인을 도출하였다. 하위 가설 검증을 통해, 자녀 동반 가족여행자의 Push-pull 동기가 참석 경험(4E)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결과를 도출하였다. '에스테틱스 체험'은 자녀 동반 가족자의 행동 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교육 경험'과 '엔터테인먼트 경험'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민속마을 방문의 추진 요인 및 유인 요인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경주 양동민속마을을 대상으로 - (A Study on Satisfaction by Visitors' pull factors and push factors - Focusing on Yangdong Ethnic Village in Kyeong-Ju -)

  • 강영은;양병이
    • 농촌계획
    • /
    • 제17권4호
    • /
    • pp.1-11
    • /
    • 2011
  • This study analyzed push, pull motivation factors and satisfaction of visitors who visited Yangdong village in order to maintain, conserve and seek for effective utilization of this village.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 was that 'personal relations' has a positive impact on 'regional environment' and 'amenities', 'the pursuit of knowledge' has a positive impact on 'regional environment' and 'ameniti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isit motivation and the visit satisfaction. Secondly, 'the pursuit of knowledge' and 'the desire to new experience' have positive impact on the visit satisfaction on a part of the push factor generally. Physical environment was a only factor that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visit satisfaction on a part of the pull factors. Thirdly, the intention of recommendation was a only factor to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visit satisfaction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tention of return visit, recommendation and the visit satisfaction. It was proved that the intention of return visit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the intention of recommendation. This result of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t pull and push factor to enhance the tourist attraction of Yangdong village. It will be helpful to make the preliminary data for planning and conservation guidance of traditional village.

산악형(山岳型) 국립공원(國立公園)의 방문객(訪問客) 동기요인(動機要因)과 유인요인(誘因要因)의 검정(檢定) (Testing the Push and Pull Factors for National Parks in Mountain Regions)

  • 한상열;최관;이주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3호
    • /
    • pp.356-367
    • /
    • 2000
  • 본 연구는 4개의 산악형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탐방객들의 주요 방문 동기요인(push factor)과 이들 국립공원의 유인요인(pull factor)을 도출하고, 규명된 방문요인과 유인요인간의 입체적인 관계규명을 통하여 효율적인 산악형 국립공원 관리정책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동기요인으로는 가족중심의 자연 문화체험 일탈성 건강, 사회성 신기성의 4개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유인요인으로는 시설 문화재, 자연자원, 접근성의 3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이들 방문 동기요인과 유인요인간의 상호 연관성을 통계적으로 확인한 결과, 동기요인과 유인요인들은 상호 연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유인요인을 기준으로 동기요인들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국립공원의 시설 문화재 유인요인은 자연 문화체험 동기와 사회성 신기성 동기에 양(+)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연자원 유인요인은 자연 문화체험, 일탈성, 건강, 사회성 신기성 등 모든 동기요인에 양(+)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접근성 유인요인에 있어서는 건강동기에 양(+)의 영향을 받는 반면, 자연 문화체험 동기에는 음(-)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terminants of Tourists' Revisit Intention in Domestic Tourism

  • Kim, Wonsi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3호
    • /
    • pp.74-80
    • /
    • 2021
  •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tourists' revisit intention focusing on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factors. Many studies have found physical conditions affecting tourists' intention to revisit. The study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tourist's revisit intention in terms of tourists'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elements such as satisfaction and motivation. The data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es were from a survey targeting people living in Daegu and Pusan metropolitan cities and some cities of Gyeongsangbuk-do and Gyeongsangnam-do provinces in Korea. The study employs regression analys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atisfaction and motivations on tourists' revisit intention. As the results of OLS regression analysis, satisfaction, push and pull motivation are predictors of tourists' revisit intention. It shows that tourists'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factor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ourists' revisit intention. The study suggests the implications for enhancing tourists' revisit intention by motivating tourists'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needs.

Destination Loyalty Towards Bali

  • LEMY, Diena Mutiara;NURSIANA, Adinoto;PRAMONO, Rudy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2호
    • /
    • pp.501-508
    • /
    • 2020
  • The focus of this research was on Bali, Indonesia as an international tourist destination. The survey strategy involv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collect data and information supporting this research. The sampling method was non-probability convenience purposive sampling, which means that only those respondents who had visited Bali as a destination for more than two times for their holiday by the time the research was conducted were eligible to fill in the questionnaires. There were 300 questionnaires distributed, only 254 of which were valid. Interview was also conducted for data collection in this researc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pproach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obtained from respondents, who had visited Bali at least two times. The outcomes of this research reveal a positive influence of push and pull motivational factors on tourist satisfaction. Moreover, a positiv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and destination loyalty can be seen in this research. With the aim to sustain and enhance destination competitivenes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be beneficial for stakeholders of Bali as a destination. This study helps stakeholders identify push and pull motivational factors in order to better prepare marketing strategies and utilize indicators of push and pull motivation that affect tourists' experience during their stay.

전주 한옥마을 음식문화에 대한 소비자 요구도 및 만족도 분석 : Push-Pull factor theory를 적용하여 (Analysis of consumers' needs and satisfaction related to food culture in Jeonju Hanok Village: Application of the Push-Pull factor theory)

  • 나희라;박은주;양수진;차연수;이민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2호
    • /
    • pp.192-200
    • /
    • 2017
  • 최근 음식상품 특화 필요 지역인 전주 한옥마을의 방문객이 증가함에 따라 전주 향토 음식의 상품 개발이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주 한옥마을 내 방문객의 음식 구매 현황과 방문 동기, 만족도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여 전주 한옥마을 내 건강한 음식문화 형성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개발한 설문조사지를 이용하여 전주시 방문 경험이 있는 한국 성인 5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중 총 580부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그 결과, 전주 한옥마을 방문 경험이 있는 연구대상자 (n = 508)의 전주 한옥마을 내 음식 구매경험은 '있다 (96.4%)'가 '없다 (3.6%)'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구매 음식 유형은 '전통 한식 (26.5%)', '외국 음식 (25.8%)', '한국 식재료를 포함한 외국 음식 (16.8%)' 순으로 나타나 전주 한옥마을 내에서 다양한 음식 상품을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식 구매 만족도 (3.35점)는 보통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만족 이유는 '음식이 맛있어서 (59.6%)', '다양한 음식을 맛볼 수 있어서 (29.8%)' 순으로, 불만족 이유는 '음식의 가격이 비싸서 (48.1%)', '음식이 맛없어서 (19.5%)' 순으로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방문객의 방문 동기를 추진 요인과 유인 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추진 요인으로 '지역음식추구', '경험추구', '휴식추구', '친목추구'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유인 요인으로 '전통문화', '시설편리', '체험활동', '음식경험' 요인이 도출되었다. 추진-유인 요인 간의 상호연관성 분석 결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유인 요인인 '음식경험' 요인이 추진 요인인 '지역음식추구', '휴식추구', '친목추구' 요인에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진-유인 요인과 방문 만족도간의 영향 관계 분석 결과, 모든 추진 요인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인 요인은 '음식경험', '전통문화' 요인만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주 한옥마을 방문객의 음식 구매 만족도, 만족-불만족 이유를 분석하여 전주 한옥마을 내 음식문화 형성의 방향성을 제시하였으며, 전주 한옥마을 내 음식 요인이 방문객의 내재적 방문동기 (추진 요인)와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밝혀내었다. 이를 통해 전주 한옥마을의 음식 요인 관련 연구의 중요성을 시사하였으며 전주 한옥마을 음식 문화 포지셔닝 전략 수립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전주 한옥마을의 건강한 음식문화 형성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문화차이가 해외여행 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중·미·일 비교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Effect of Cultural Difference on Overseas Travel Market: A Comparison among Korea, China, U.S. and Japan)

  • 김종혁
    • 통상정보연구
    • /
    • 제19권1호
    • /
    • pp.213-234
    • /
    • 2017
  • 본 연구는 한 중 미 일 참가자를 대상으로 해외여행과 관련한 오프라인-온라인 설문을 실시 총 707개의 유효한 표본을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아시아 국가의 경우, 권력거리와 유인동기간 유의한 인과관계와 전체주의와 추진동기 사이에 유의한 인과 관계가 존재함을 밝혀냈다. 즉, 아시아 국가의 관광 전략은 다양한 이벤트와 볼거리를 제공하고 친목 단체 간 유대를 강화하는 상품을 개발하는 것이 유리한 반면, 미국인의 경우, 과시적 상품보다는 실질적 여행 계획을 통한 개인 맞춤형 상품으로 자기만족을 극대화시키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한 전형적인 탐색적 분석 방식을 취하여 설문 참가자의 다양한 의견을 제약하는 한계점이 있지만, 홉스테드의 문화차원지수, 동기이론, 고객만족과 재방문 의도에 관한 이론을 활용한 학제적 공헌과 함께 각 국가 간 문화 성향을 동시 비교함으로써 해외여행 상품에 대한 최적의 마케팅 전략을 제시한 실질적 시사점이 있다.

  • PDF

국립공원 내 템플스테이의 추진요인과 유인요인에 관한 연구 - 강원도 소재 국립공원 내 사찰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ush and Pull Factors of Temple Stay in Korean National Parks - Focused on Temples in National Parks in Gangwon-Do -)

  • 김정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21-630
    • /
    • 2011
  • 본 연구는 관광동기로서 국립공원 내 템플스테이의 추진요인과 유인요인을 규명하고자 실시되었다. 강원도에 소재한 오대산국립공원 내 월정사와 치악산국립공원 내 구룡사의 2개 사찰의 템플스테이에 참가한 152명을 대상으로 국립공원내 템플스테이에 참가한 이유(추진요인)와 참여결정시 영향을 주는 요인(유인요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우리나라 국립공원 탐방객 특성과 유사성을 보였다. 요인분석결과 추진요인으로는 '자아실현', '건강추구', '자연동화감', '관계고양', '종교적 체험', '여가체험'의 6개 요인이, 유인요인으로는 '휴식성',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의 질', '사찰의 특성', '이용 편리성', '관광체험거리', '접근성과 교통' 등 6개의 요인이 각각 도출되었다. 국립공원 내 템플스테이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리커르트 5점 척도를 기준으로 4.71점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국립공원 내 템플스테이에 적합한 지역으로는 강원도가 89.2%로 압도적인 선호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연관광과 문화관광, 종교관광의 성격을 아우르는 국립공원 내 템플스테이 참가자의 다원적 참여동기를 파악함으로써 보다 경쟁력있는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의 개발과 마케팅 전략 수립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확인된 자연환경 기반의 국립공원 내 템플스테이가 지닌 웰니스지향적 추진요인과 유인요인들은 향후 보다 정교화된 후속연구를 통해 일반화될 것이 요망된다.

Travel Intention to Visit Tourism Destinations: A Perspective of Generation Z in Vietnam

  • NGUYEN, Viet Hoang;TRUONG, Thi Xuan Dao;PHAM, Huong Trang;TRAN, Duc Thanh;NGUYEN, Pham Hung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2호
    • /
    • pp.1043-1053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gen-Z's perception of consumer-generated content on social media on their travel intention with the mediating role of travel motivation push and pull.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of a total of 369 samples was conducted with the participation of gen Z in the most important cities across Vietnam. The model was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using AMOS program 22 to investigate model relationships and all hypotheses are significant. The findings indicated that gen Z values the usefulness of social media and they use social media for knowledge-seeking (push factor), and this leads to their intention to visit a destination. SEM analysis also reveals that gen Z tends to use social media to find accessibility to any destinations and they are motivated highly with destinations that have clear and easy access, for example, no visa requirement or neighboring destinations. As the result, they have better intentions to visit these destinations. This research will help marketers, especially marketing specialists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gen Z, thus implement better marketing techniques to target gen Z.

외식관련전공 대학생의 창업동기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ial Motivation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Foodservice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by Gender)

  • 권영국;윤혜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93-210
    • /
    • 2013
  • 본 연구는 창업에 관심 있는 외식관련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유인 요인과 추진 요인의 동기 이론을 통해 창업동기를 고찰하였으며, 창업동기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이러한 영향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실증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확보된 317개의 표본을 바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 분석 및 위계적 조절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총 2개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창업동기의 유인 요인 중 성취욕구(p<0.001)와 자아실현(p<0.01)이 창업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어 외식관련전공 대학생들은 긍정적인 창업동기로 창업의도가 증진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한편 창업동기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성별과 창업교육 경험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성별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이론적 시사점과 더불어 대학에서의 창업 활성화 및 창업의욕 고취를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