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BASE, MEDLINE, SCISEARCH에서 검색된 한국의학논문의 중복정도와 특성분석

A Study of Overlap Records of Korean Medical Papers Retrieved from EMBASE, MEDLINE and SCISEARCH : Their Extent and Characteristics

  • 이춘실 (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 이은숙 (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발행 : 1998.08.01

초록

여러 색인들에 수록된 한국의학논문의 중복정도를 연구하여, 연구업적을 효율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색인 선정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EMBASE, MEDLINE, SCISEARCH에 수록된 1990년에서 1995년 사이의 한국의학논문 중에서, 외국 학술지에 게재된 한국의학논문의 건수와 연도별 증가추이를 조사 분석하였다. 1990년, 1992년, 1994년 3개년을 선정하여, 2개 이상 데이터베이스에서 중복 검색된 논문수, 특정 데이터베이스에서만 검색된 논문수, 그 논문들이 실린 학술지를 분석하였다. 의학연구업적을 평가할 때에, 한 개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한다면 한국의학논문이 가장 많이 검색된 SCISEARCH를, 두 개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다면 EMBASE를 추가하는 것이 효율적인 데이터베이스 선정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