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하(Penaeus chinensis) 임파양기관에 대한 광학 및 전자현미경적 관찰

  • 허민도 (부경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 조병열 (부경대학교 수산생명의학) ;
  • 박정희 (통영수산기술관리) ;
  • 강재연 (부경대학교 수산생명의학) ;
  • 이월라 (남해수산기술관리소)
  • Published : 2000.05.01

Abstract

새우의 생체방어와 관련된 기관들에 대한 기능적 측면을 추구하는 것은 질병의 발생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새우질병에서 자주 병변을 형성하며 기능적으로 생체방어와 관련된 것으로 여겨지고 있는 장기 중 하나로 임파양기관을 들 수 있다. 이 기관은 최초로 일본의 Oka가 그 존재를 보고하였으며 기능적으로는 조혈과 생체방어와 관계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지만 아직 이 두 기능의 어느 쪽도 만족할만한 연구정보가 부족하여 임파양기관에 형성되는 병변에 대하여 적절한 병리학적 해석을 가하기 어렵다. (중략)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