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시아 지역 대기의 광학적 깊이의 변화와 에어로졸의 화학적 특성과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Atmospheric Optical Depth and Aerosol Chemical Properties over the Northeast Asia

  • 류성윤 (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과) ;
  • 김정은 (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 ;
  • ;
  • 김영준 (광주과학기술원 환경공학과)
  • ;
  • ;
  • K. Ogunjobi ;
  • 발행 : 2001.11.01

초록

대기 중의 에어로졸은 지구의 복사평형에 직ㆍ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친다. 직접적인 영향으로는 에어로졸이 가시광선과 자외선 영역의 에너지를 산란 또는 흡수함으로써 기후에 영향을 미치며, 간접적으로는 microphysical process에 의한 구름의 특성을 변화시키거나 불균일적인 화학반응을 통해서 복사특성을 지니는 가스들을 변화시킴으로써 기후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복합적 영향에 의한 인위적 에어로졸의 복사강제효과는 온실가스와는 반대의 영향을 끼치며 그 양은 -0.4~-3.0 W/$m^2$로 온실가스에 상응하는 값을 지니고 그 양과 공간적 분포로 인한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다. (중략)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