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현탁세포배양에서 면역증강성 다당의 생산 증진

  • 조윤정 (인하대학교 생물공학과 세포배양공학실험실) ;
  • 김익환 (고려대학교 생명공학원) ;
  • 김동일 (인하대학교 생물공학과 세포배양공학실험실)
  • Published : 2001.11.07

Abstract

Suspension cells of Angelica gigas Nakai was cultivated to produce extracellular polysaccharide(ECP) as immunostimulating agents. In this study, effects of pectinolytic enzymes such as pectinase. Pectinex on cell growth and ECPs production were investigated in suspension cultures. Optimum concentration of pectinase for ECP production ,vas found to be 0.1 U/L. at which ECP production was increased 1.39 fold (0.97 g/L) compared to control culture.

참당귀 현탁세포배양시 생산되는 ECP는 세포벽을 가수분해하는 효소를 첨가할 경우 그 생산이 증진됨을 확인하였다. Pectinase의 경우 최대 0.97 g/L로 1.39 배, Pectinex의 경우 최대 1.04 g/L로 1.35 배 증진시켰다. Pectinase는 세포벽의 fragment를 방출시켜 세포의 생장과 ECP 생산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Pectinex는 저농도 (1 FDU U/L)로 처리하였을 경우 세포의 생장과 ECP 생산을 증가시켰다. 고농도로 갈수록 생장에 저해될 만큼의 fragment를 방출시켜 세포의 크기가 작아지면서 생산되는 ECP의 양은 증가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세포벽을 가수분해하는 효소는 ECP 생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