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름담금 염장 발효굴의 가공 및 품질특성

  • 김석무 (경상대학교 해양생물이용학부) ;
  • 김종태 (경상대학교 해양생물이용학) ;
  • 오광수 (경상대학교 해양생물이용학부)
  • 발행 : 2003.05.01

초록

굴은 세계적으로 100∼120종이 알려져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남해안의 청정해역에서 생산되며 산업적으로 가장 중요한 양식 굴은 참굴 (Crassostrea gigas)이다. 굴은 10∼3월에는 주로 생굴로 식용하고 있고, 4∼6월까지는 통조림과 IQF 등의 가공원료로 이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굴 생산량은 매년 20 여만 M/T내외로서, 이중처리동결품 (IQF 18,000 M/T 내외, 통조림 5,000 M/T, 건굴 400 M/T, 그리고 굴젓갈등의 염신품으로 300M/T정도, 즉 생산량의 약13%만이 가공품 원료로 이용되고 있을 뿐 생산량의 대부분이 생굴로 소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중략)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