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mpirical Study on the Efficiency of Major Container Ports With DEA Model

DEA 모형을 이용한 세계 주요 항만의 효율성 평가

  • 송재영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 신창훈 (한국해양대학교 물류시스템공학과)
  • Published : 2004.04.0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mplement an empirical research about the efficiency of container Ports, and to suggest an effective strategy which can operate container Ports more well. This paper presents a new approach to the measurement of efficiency.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as it is called, has particular applicability in the service sector. This study applies DEA to provide an efficiency measurement for fifty three container ports including Pusan Port. As a result, we suggest several ideas that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container terminals. They are as follows. Firstly, we discriminate between efficient and inefficient container ports and then present a method that can move to efficiency container terminal and a benchmarking port. Secondly, we evaluate the efficiency of Pusan port, and grasp the position at the present time, suggest an advanced direction in future.

부산항은 동북아시아의 급속한 성장과 더불어 지속적인 성장을 해오고 있으며, 향후 이러한 지속적인 성장을 유지하기 위해 정부의 집중 투자 및 정책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부산항을 포함한 세계 주요 컨테이너 항만들의 효율성을 DEA(Data Envelopment Analysis)모형을 통해 상대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부산항의 현재 위치와 더 효율적인 항만이 되기 위해 Benchmarking 해야할 대상을 구체화 한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일정시점의 효율성 분석이 아닌 1995년∼2001년까지 7개년 동안의 효율성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각 항만의 효율성 변화를 살펴볼 것이며 이를 통해서 보다 유효한 효율성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