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KE SWMM모형을 이용한 도시유역 유출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n the Runoff of Urban Watershed using MIKE SWMM Model

  • 김종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최경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안재현 (서경대학교 이공대학 토목공학과) ;
  • 문영일 (서울시립대학교 토목공학과)
  • 발행 : 2005.05.01

초록

도시유역의 유출분석을 위하여 국내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모형들로는 ILLUDAS, SWMM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의 대부분의 도시하천의 경우 합류식의 배수계통을 가지고 있어, 홍수시에 하수관거용량을 초과하는 우수량은 하천을 통해 배수가 되고 있다. 이러한 배수계통을 갖는 하천에 대하여 대상유역의 배수관망 자료 부족과 Modeling의 어려움으로 인해 도시유출모형이 아닌 HEC-HMS모형과 같은 유역추적법을 통해 유출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기존 논문에서 제시한 도시유출모형에 하도추적을 결합한 강우-유출 모의는 정확성 결여 및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보다 안정적인 해석 모형인 MIKE SWMM 모형을 사용하여 과거 침수자료와 DEM 자료 및 수치 배수관망 자료를 통한 유역 및 배수관망 자료를 구축하고 유역에 대해서는 Runoff Block을 사용하고, 하수관거와 본류에 대해서는 Dynamic 방정식을 이용한 Extran Block을 적용하여 유출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기존의 방법들과 비교하여 각각의 장단점 및 적용성을 밝히고 개선방향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For urban watershed models, the ILLUDAS and SWMM are the popular rainfall-runoff models used in Korea. However, combined sewage systems in urban areas produced problems when a flood occured because of the surcharged precipitation amount which drained to the streams directly. Also, the lack of pipe line data and the difficulties of modeling yield inappropriate modeling results in urban runoff analysis. In addition, rainfall-runoff models in urban areas which use channel routing could have inaccurate and complicated processes. In this paper, the MIKE SWMM model has been applied for the stable runoff analysis of urban areas. Watershed and pipe line data were established by using past inundated records, DEM data, and the numerical pipe line data. For runoff modelings, the runoff block was adapted to a basin and the Extran block using dynamic equations was applied to the sewage system. After comparing to models that exist, it is concluded that the MIKE SWMM model produces reliable and consistence results without distorting the Parameters of the model.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