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송장비의 Pooling 운행방식에 따른 터미널하역생산성 효과

A study on the productivity effects of transport vehicle by pooling system at container terminals

  • 하태영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운물류항만연구센터) ;
  • 신재영 (한국해양대학교 물류시스템공학과) ;
  • 최용석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운물류항만연구센터)
  • Ha, Tae-Young (Shipping Logistics and Port Research Center, Korea Maritime Institute) ;
  • Shin, Jae-Yeong (Department of Logistics Engineering, Korea Maritime University) ;
  • Choi, Yong-Seok (Shipping Logistics and Port Research Center, Korea Maritime Institute)
  • 발행 : 2005.04.2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이송장비의 조별운행방식과 Pooling 운행방식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의 하역시스템 생산성을 비교분석하였다. 기존 컨테이너 터미널에서는 다수의 이송장비가 1개조로 구성되어 하나의 컨테이너 크레인(C/C)에 대해서만 양 ${\cdot}$ 적하작업을 지원하는 고정할당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할당방식은 하역작업시 혼선이 적고 차량이 일괄적 운행경로를 가지므로 지금까지 매우 광범위하게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각기 다른 조에 편성된 이송장비간에는 상호지원을 하지 않기 때문에 이송장비의 작업융통성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비해 본 연구에서는 이송장비의 작업조를 편성하지 않고 투입된 모든 이송장비가 자유롭게 다수의 C/C에 대한 이송작업을 지원할 수 있는 4가지의 동적할당기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4가지의 동적할당은 차량할당시에 C/C의 순번(Se), 대기시간(Qt), 생산성(Pr), 차량할당수(Nv), 버퍼수(Nb)를 고려하는 것으로 연구결과에서 C/C의 현재대기시간, 할당수, 버퍼수를 동시에 고려한 동적할당방식이 가장 효율적이였고, 그 다음으로 할당순서에 기준한 방식이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C/C의 현재생산성이나 대기시간만을 고려한 할당방식은 상대적으로 고정할당방식보다 낮은 효율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deals with productivity improvement of stevedoring system by pooling opertaions of transport vehicle at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Usually, in traditional container terminals, grouping operations of transport vehicle are applied for container crane because vehicle routing path is simple and vehicle assignment is easy. But this static assignment(SA) operation that arrsign vehicles to container crane ar apron reduces flexibility of vehicles. Therefore, This paper presented 4 dynamic assignment(DA) method to improve efficiency of vehicles. These 4 dynamic assignment method consider present situations of container crane such as sequence(Se), queue time(Qt), productivity(Pr), numeric of vehicle assignment(Nv), numeric of buffer(Nb) at vehicles assignment. At the results, dynamic assignment operation to consider Qt, Nv, Nb is most efficient and by next time, dynamic assignment operation to consider Se is superior more than static assignment operation. but, dynamic assignment operation to consider Pr or Qt of container crane only is inefficient than static assignment oper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