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Berth Operation Ratio in terms of Wave Response at Busan New Port Site

부산신항역 파랑반응에 따른 부두 가동율 해석

  • Jeong, Jae-Hyun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Graduate Division, Korea Maritime University) ;
  • Lee, Hak-Seung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Graduate Division, Korea Maritime University) ;
  • Lee, Joong-Woo (Division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Korea Maritime University) ;
  • Yang, Sang-Yong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Graduate Division, Korea Maritime University) ;
  • Jeong, Young-Hwan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Graduate Division, Korea Maritime University)
  • 정재현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토목환경공학과) ;
  • 이학승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토목환경공학과) ;
  • 이중우 (한국해양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부) ;
  • 양상용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토목환경공학과) ;
  • 정영환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토목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6.12.07

Abstract

Busan New Port, under construction aiming for the hub of Northeast Asia and Partly in operation, had damaged up to 48 billion Won due to Typhoon 'maemi' in 2003. The present criteria of domestic harbor design only describes about the critical wave height with respect to the size of vessel for harbor tranquility. The berth operation ratio which represents the annual available berthing days is depending on the efficiency of cargo handling work and this depends on the motion of the moored vessel due to the wave ac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cargo gears. The motion of moored vessel might be related not only to the wave height but also to wave period. Furthermore, the berth operation ratio relies on external forces such as currents and winds,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of mooring system and the specification of the moored vessel. In this study we only deal with berth operation ratio in normal sea state, considering wave and current by measured data and numerical calculation. Especially we tried to evaluate the berth operation ratio for each berth adopting the variation of dredging and reclamation plan and the change of wave environment during the process of the new port construction. For better understanding and analysis of wave transformation process, we applied the steady state spectral wave model and extended mild-slope wave model to the related site. This study summarizes comparisons of harbor responses predicted by two numerical predictions obtained at Busan New port site. Field and numerical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original port plan and the final corrected plan.

동북아의 허브항만으로 건설중인 부산신항만은 태풍 매미로 인해 480억원에 이르는 큰 피해를 입었다. 국내의 현행 항만설계기준을 보면 항만 정온도 기준은 선박규모별 항내 한계파고만이 규정되어있다. 그러나, 항만의 연중 이용일수를 나타내는 항만 가동률은 화물을 싣고 내리는 하역작업의 효율에 달려있으며, 하역효율은 다시 접안선박의 파랑에 의한 동요 및 하역기계의 성능에 따라 결정된다. 선박의 동요는 파고뿐만 아니라 주기에 따라서도 충분히 달라질 수 있으며 해 ${\cdot}$ 조류, 바람 등의 외력조건, 계류시스템의 특성과 선박의 제원 등의 복합적인 요인에 의하여 결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실험 및 관측 자료를 통해 평상시의 항만 가동률을 산정하고자 한다. 특히, 부산신항만의 개발초기단계에서의 계획으로부터 수심을 증심시킴과 아울러, 매립범위 및 해안선 형태 등 다양한 변화가 건설과정에서 나타났고 이를 본 연구에서 반영하여 상세해역과 장래 개발해역 둥에서 항만가동율을 재산정하였다. 파랑변형과정의 이해와 분석을 돕기 위하여 관련해역에서 정상상태 스펙트럼모델과 확장 완경사 파랑 모델을 부산신항역에 적용하여 항만반응 특성을 분석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