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mulation of Flow field and Water exchange Change on the Redevelopment of Busan North Port

부산북항 재개발에 따른 유동장 및 해수교환 변화 모의

  • 금동호 (부산항만공사 건설사업부) ;
  • 김강민 (세일종합기술공사 기술연구소) ;
  • 이중우 (한국해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 전성환 (한국해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6.12.07

Abstract

In connection with redevelopment of Busan North Port, there has been lots of studies and efforts for the development of superannuated North general piers into a center of marine tourism and waterfront for the citizens of Busan. Recently it has moved to the stage of execution, after several trials to find concrete solutions. On the other hand, the change of flow field and tidal exchange cuased by redevelopment is one of the important investigation subjects. This study deals with the change of flow field and water exchange after redevelopment using numerical simulation technique, based on the general data which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simulation, the speed of tidal currents are tended to decrease near the North and inner-port and increase at the main waterway. Furthermore, the tidal exchange had a tendency to be small both before and after redevelopment by about 77% in a quasi steady state, which is about 15 days after.

부산항(북항) 재개발사업은 노후화된 북항 일반부두를 해양관광의 중심지역 그리고 부산시민을 위한 친수공간으로 개발하기 위해 그동안 많은 연구와 노력이 진행되어 왔으며, 현재 구체적인 방안이 모색되는 실행단계로 진입하였다. 한편, 재개발로 인한 유동장 및 해수교환의 변화는 환경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검토사항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북항 재개발에 따른 일반적인 자료를 수집 ${\cdot}$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재개발에 따른 유동장의 변화와 만내수의 해수교환을 수치실험으로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조류속 변화는 북항 및 내항에서 감소가 나타나고 주수로상에서 증가가 나타나고 있다. 해수교환 변화는 15일이 지난 준정상상태에서 재개발 전후 공히 약77% 내외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