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ISS와 MMIA 양방향시각비교 교정

  • 양성훈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기반표준부) ;
  • 이영규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기반표준부) ;
  • 이승우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기반표준부) ;
  • 한지애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기반표준부) ;
  • 이창복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기반표준부)
  • Published : 2006.10.18

Abstract

1967년 시간의 기본 단위인 초가 세슘원시계에 의해 정의된 이후, 각 국의 표준기관에서는 보다 정확한 원자시계개발 연구와 평가를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정확한 시간척도(Time Scale)와 국제원자시를 생성하여 산업과 과학분야에 기여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필연적으로 국제간 시각비교 개선을 위한 연구도 함께 발전되어 왔다. 전파를 이용한 시각비교는 지상파를 이용하던 70년대 초부터 시작되었는고 1981년부터 GPS에 의한 시각비교 방법이 소개된 이후, 8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GPS 활성화에 따라 급격히 시각비교 정확도가 향상되었다. 그러나 GPS와 더불어 통신위성을 이용한 양방향 시각비교(TWSTFT)의 필요성에 따라 세계 선진 표준기관들은 이 방법을 수행하고 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에서도 통신위성을 이용한 양방향시각비교를 구축하여 운용하고 있으며 아시아, 오세아니아, 유럽지역과 비교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PAS-8위성을 이용한 KRISS와 NMIA(호주)와 양방향시각비교를 수행함에 있어 필수적으로 계산 또는 측정하여야하는 오프셋값을 결정방법으로 GPS와 Circular-T를 이용하여 산출한 결과를 제시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