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Best Practices for Efficient Utility Relocation and an Inquiry into the Applicability of SUE

효율적인 지하지장물 이설을 위한 모범사례분석 및 SUE 적용에 관한 연구

  • 이승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코스트연구센터) ;
  • 백승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코스트연구센터) ;
  • 태용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코스트연구센터) ;
  • 안방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코스트연구센터) ;
  • 박현용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코스트연구센터)
  • Published : 2007.11.09

Abstract

In the U.S., utility damages or utility delay caused by conflicts during the underground utility relocation is one of the weighty problem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lso, in domestic case, delay and additional cost caused by underground utility(i.e, electricity, communication, gas, water supply and sewerage) relocation has been happened so that there is an increase of claims for responsibility between owners and contractors. However, there is insufficient survey for the recent circumstance of additional cost for delay and design changes caused by utility relocation and shortage of enough research for solving and analyzing of causes and their ripple effect. This research presents a result of the study about the best practices of FHWA(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SHAs(State Highway Agencies) and the utility companies managing utility relocation. Also, it presents the basic concept of SUE(Subsurface Utility Engineering), the most reliable tool of FHWA presented, and investigates the developing status about SUE in Korea. At the end of this paper, this research proposes a practical and more applicable study about the efficient utility relocation focusing on local industry.

미국의 경우 지하지장물의 이설시 발생하는 시설물들의 손상, 간섭으로 인한 작업지연 등이 여전히 미국 건설업의 주요한 문제점 중 하나로 지적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에도 전기, 통신, 가스, 상 ${\cdot}$ 하수도 등과 같은 지하지장물 이서에 따른 공기지연 및 추가비용 사례가 발생하고 있고, 이로 인해 발주자와 시공자간의 책임소재를 둘러싼 클레임의 제기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지하지장물 이설과 관련 공기지연 및 설계변경 등에 따른 추가 공사비 발생 등에 대한 현황 파악조차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실정이며, 원인 및 파급효과 분석 등 문제해결을 위한 체계�Ю� 연구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국의 FHWA, SHA 및 지하지장물 이설을 관리하는 유관 기관들의 모범사례 규명을 통한 최근 연구결과를 분석하여 보여줌과 동시에 FHWA가 제시한 문제해결 도구들 중에서 특히 신뢰성 있는 지하지장물의 위치 파악을 위한 SUE에 관한 기본적인 개념을 고찰하고, 국내 관련기술개발 현황 등을 살펴봄으로서, 향후 국내 건설업의 효율적인 지장물 이설작업을 위한 체계적인 연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