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atistical method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hydration heat and autogenous shrinkage of concrete

콘크리트 수화발열 및 자기수축 특성의 정량적 분석을 위한 통계적 방법

  • 이의배 (충남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 이형준 (충남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 구경모 (충남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 나철성 (충남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 김규용 (충남대학교 건축학부) ;
  • 김무한 (충남대학교 건축학부)
  • Published : 2008.04.24

Abstract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hydration heat and autogenous shrinkage of high strength concrete in early age, statistical method present numerically hydration heat and autogenous shrinkage was studied. First of all, hydration heating velocity and autogenous shrinking velocity as quantitative coefficients which represent the main properties of hydration heat and autogenous shrinkage were proposed. Two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by statistical analysis and were equal with the regression coefficient.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statistical analysis method, data of hydration heat and autogenous shrinkage gathered by a real experiment were analyzed by it. In results, properties of hydration heat and autogenous shrinkage of high strength concrete in early age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Also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hydration heat and autogenous shrinkage with numerical value were possible.

본 연구에서는 초기재령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화발열 특성 및 자기수축 특성의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우선 초기재령 콘크리트의 수화온도와 자기수축의 발현 특성을 정량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통계적 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우선 수화발열 특성 및 자기수축 특성을 표현할 수 있는 정량적인 계수로서 수화온도와 자기수축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구간의 기울기인 수화발열상승속도와 자기수축증가속도를 설정하였으며, 이 두 계수는 통계적 수법을 활용하여 일정범위의 결정계수를 갖는 회귀계수로 산정하는 것으로 제안하였다. 또한 설정된 통계적 분석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 측정된 수화온도 및 자기수축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초기재령 고강도 콘크리트의 수화발열 특성 및 자기수축 특성을 보다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으며, 두 가지 특성의 상관관계를 정량적인 수치로 비교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