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ication of Fly Ash Concrete in the Pavement

시험시공을 통한 플라이애쉬 콘크리트 포장 적용 특성

  • 홍승호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도로팀) ;
  • 이병덕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도로팀) ;
  • 한승환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도로팀)
  • Published : 2008.04.24

Abstract

The case of failure of Alkali-silica reaction (ASR) on the cement concrete pavement was reported in Korea. In the United States America, the fly ash has less than 10 percent Cao reported that prevent expansion by ASR. Most of all fly ash in Korea have less than 10 percent CaO, therefore it is similar ASTM F fly ash in the USA. Crushed aggregates of the test section had expansion behavior by potential ASR that the ASTM C 1260 test method tested expansion 0.17 percent during 14 days. The test section of concrete pavement used crushed aggregate was constructed that fly ash have 20 percent weight of cementitious materials to prevent expansion by ASR. This study was performed flexural strength test for elapsed days and durability by freeze-thaw test. It was shown that flexural strength was increased elapsed days and good performed freeze-thaw test. This study shown that fly ash concrete pavement was good performance in the test section.

국내 일부 고속도로 시멘트 콘크리트포장에서 알칼리-실리카 반응에 의한 피해 사례가 학계에 보고되었다. 미국에서는 CaO 함량이 10% 이하인 플라이애시를 일정량 이상 콘크리트에 적용할 때 알칼리-골재 반응에 의한 팽창 현상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국내산 플라이애시 대부분은 CaO 함량이 10% 이하로서 미국 ASTM 기준의 F 급에 해당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STM C 1260 시험에서 14일에 0.17%의 팽창이 발생하여 잠재적인 알칼리-골재 반응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된 구간에 대하여 시멘트 80%와 플라이애시 20%가 혼합된 콘크리트 포장 시험시공을 실시하였다. 시험시공 구간에 적용된 플라이애시 콘크리트에 대하여 재령별 강도시험, 동결-융해 시험을 통하여 내구 특성을 분석하였고 추적조사를 통한 공용 상태를 분석하였다. 일반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플라이애시 콘크리트의 휨강도는 재령 경과에 따라 약간 낮은 강도를 발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플라이 애시는 콘크리트 강도 발현이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90일 재령에서는 일반 콘크리트에 96% 나타났다. 본 시험시공 구간에 적용된 플라이애시 콘크리트는 재령에 따라 휨강도가 증진되었고, 동결-융해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시험시공 결과 분석을 통하여 플라이애시 콘크리트 포장의 현장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