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l Fine Grid Sea Wind Prediction for Maritime Traffic

해상교통을 위한 국지정밀 해상풍 예측

  • Park, Kwang-Soon (Climate Change and Coastal Disaster Research Department, KORDI) ;
  • Jun, Ki-Cheon (Climate Change and Coastal Disaster Research Department, KORDI) ;
  • Kwon, Jae-Il (Climate Change and Coastal Disaster Research Department, KORDI) ;
  • Heo, Ki-Young (Division of Earth Environmental System, Pusan National University)
  • 박광순 (한국해양연구원 기후연안재해연구부) ;
  • 전기천 (한국해양연구원 기후연안재해연구부) ;
  • 권재일 (한국해양연구원 기후연안재해연구부) ;
  • 허기영 (부산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 Published : 2009.06.17

Abstract

Sea level rise and increase of the typhoon/hurricane intensity due to global warming have threaten coastal areas for residential and industrial and have been widely studied. In this study we showed our recent efforts on sea wind which is one of critical factors for safe maritime traffic and prediction for storm surges and waves. Currently, most of numerical weather models in korea do not have sufficient spatial and temporal resolutions, therefore we set up a find grid(about 9km) sea wind prediction system that predicts every 12 hours for three day using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WRF). This system covers adjacent seas around korean peninsula Comparisons of two observed data, Ieodo Ocean Research station(IORS) and Yellow Sea Buoy(YSB), showed reasonable agreements and by data assimilation we will improve better accurate sea winds in near future.

지구온난화에 따른 해수면 상승과 태풍 강도의 증가는 연안역에 밀집한 주거 및 산업공간을 위협하는 요소로 최근 그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전한 해상교통 및 폭풍해일과 파랑예측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해상풍에 대한 연구이다. 해상풍은 연안역에서의 자연재해를 유발하는 여러 요소 중에서 중요한 연구과제이나, 현재 가상수치모델에 의한 해상풍 및 해면기압은 시 공간적으로 불충분하다. 따라서, 중규모 기상 모형인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WRF)을 사용하여 우리나라 주변해역을 모두 포함하며, 약 9km 격자로 매일 두 번씩 72시간을 예보하는 해상풍을 산출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와 황해중부부이에서 실측한 해상풍과 검증한 결과 상당히 유의할 만한 결과를 얻었으며, 자료동화을 이용하여 향후에는 보다 정확한 해상풍을 산출할 계획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