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afety Evacuation of Onboard Fire

선박화재시 피난 안전성 연구

  • Kim, Won-Ou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Chang-Jae (Division of Navigation Science, Korea Maritime University) ;
  • Chae, Yang-Bum (Division of Navigation Science, Korea Maritime University)
  • 김원욱 (부경대학교 대학원) ;
  • 김창제 (한국해양대학교 해사대학 항해학부) ;
  • 채양범 (한국해양대학교 해사대학 항해학부)
  • Published : 2010.04.22

Abstract

Unlike cases of fire on land where experienced fireman and various fire fighting equipment are present, onboard fires need to be independently extinguished, making it a complex process. The primal objective of getting quick control of a fire is to prevent casualties which generally occur from inhalation of toxic fumes rather than the fire itself. However, if for some inevitable reason the fire cannot be contained, everyone in that particular area must evacuate to avoid any possible casualties. In this research, through a simulation of the CFD, we will observe the soot density concentration which affects evacuation within an onboard fire in relation to the possible evacuation time to conclude a time zone for a safe exit.

선박화재는 육상과 달리 숙련된 인원과 다양한 장비에 의한 소화활동이 곤란하며 거의 자체적인 진화작업을 수행해야하므로 소화가 쉽지 않다. 화채는 일반적으로 화염에 의한 인명사고 보다 매연에 의한 질식사의 확률이 높으므로 인명사고 방지하기 위해서는 신속한 초기 진화가 가장 중요하다. 하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부득이 소화가 지연되거나 불가능할 경우에는 화재 구역으로부터 신속한 탈출만이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CFD기법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선박화재시 탈출에 지장이 되는 매연농도를 측정하고 피난시간과 비교하여 적절한 피난이 가능한지에 대한 안전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