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시설에 있어서의 구조물 거동대응형 방수기술의 적용

Structure movement-coping Waterproofing technology application for Railroad facilities

  • 발행 : 2010.06.10

초록

최근 건설시장 규모가 확대되고 교통산업이 발전하면서 지하철 및 터널 등과 같은 개착형 Box 혹은 Shield형 터널 구조물 등 지하구조물의 건설이 다양화되고, 그 수요도 점차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주로 지하에 건설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은 시공시 신축이음 및 시공 조인트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조인트 발생과 구조물의 수축팽창에 따른 거동, 부동침하, 과다하중, 진동발생에 의한 균열로 인하여 누수가 발생되고 있다. 이에 다양한 방수공법 및 재료들이 현장에 적용되고는 있지만 지하철도, 지하철 등과 같은 진동 및 구조물의 거동이 상시적으로 발생되는 환경조건에서는 방수층의 성능이 저하되어 균열, 침식, 들뜸 등으로 물이 확산되어 재누수가 되는 악순환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진동 및 구조물의 거동에 대응 가능한 점착 유연형 복합방수공법을 대상으로 구조물의 거동 대응성 시험을 평가하고, 거동 및 진동이 상시적으로 발생되는 지하철, 터널 등을 대상으로 실제 현장에 적용 후 사례를 통해 구조물 거동에 대응 가능한 방수기술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거동 대응 특성을 검토한 결과 방수재가 기건 및 수중환경에서도 재료의 유연성과 부착성을 유지하여 물의 침투를 방지하고, 거동폭 $5.0mm({\pm}0.5)$ 범위에서도 거동에 대응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Recently, as construction market scale is getting bigger and transportation industry is developing, the underground structure construction such as subway, tunnel (excavation box) or shield tunnel structure is becoming more diverse, and its demand is gradually increasing. However, for the concrete structures constructed underground, the water leakage is occurred due to the expansion joint and construction joint, or movement, uneven settlement, excessive load and vibration during application causing cracks. Many waterproofing method and materials are used in jobsites, but areas such as underground railroad and subway that has movement and vibration at all times, the ability of waterproofing layer is declined causing repetitive water leakage due to crack, erosion and separation, which is a vicious cycle.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s the responsiveness to a movement for adhesive/flexible waterproofing material that can cope with the vibration and the movement of the structure. Also to recommend a waterproofing technology that can cope with structure movement through examples of actual jobsite applications such as subway and tunnel where there are constant movement and vibr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