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철도의 급전소 위치 관계에 따른 통신선 전자유도 전압

Electromagnetic Induction Voltag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elecommunication Line from the Power Feeding Plant of Electrified Railway System

  • Lee, Sangmu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 Choi, Munhwan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 Cho, Pyung-Dong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발행 : 2015.05.26

초록

전기철도에 공급되는 부하전류에 의하여 주변의 통신선에 발생되는 유도전압의 크기는 부하전류를 전달하는 전차선으로부터의 이격 거리에 따라 변화될 뿐만 아니라 전력 공급 급전소로부터의 거리와도 영향 관계를 가져서 급전소에 근접된 위치에서는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유도전압이 발생된다는 것을 급전소와 급전소 간에 단위 병행 거리마다의 연속된 유도전압을 측정함으로써 실증하였다. 이는 ITU-T의 전력선 전자유도 평가 지침서에서 제시된 기본 전차선 공급 전류에 대한 통신선의 위치 관계에 따른 계산 시뮬레이션 결과와도 부합된 사실이다. 그러므로 전기철도로부터 통신선에 유도되는 전압을 계산하거나 실측 평가할 때 병행 거리, 이격 거리와 더불어 급전소로부터의 위치 관계에 따른 적정 요율 변화에 대한 고려가 요구된다.

That induced voltage by an electrified railway line is related with the position of telecommunication line between traction power feeding systems is practically varified by measurements in the real field. This experimented fact is conformed with the calculated simulation provided by the ITU-T Directives concerning the protection of telecommunication lines against harmful effects from electric power and electrified railway lines. Therefore it is needed to consider at what position a telecommunication line is parallelized with power feeding line of traction system when an induction phenomenon is evaluated or measurement is carried out besides the length of parallelization and the separate distance between power line and telecommunication lin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