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및 디지털 콘텐츠 산업의 기술적 효율성 분석

Analysis of Technical Efficiency in Online and Digital Content Industry

  • 발행 : 2016.10.27

초록

온라인 콘텐츠와 모바일 단말기의 대중화에 따라 국내 디지털 콘텐츠 산업은 높은 성장률을 보이면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DEA 모형을 이용하여 온라인 디지털 콘텐츠 산업의 기술적 효율성을 측정하고 효율성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모색한다. 실증분석을 위한 투입요소로는 업종별 사업체수와 종사자수를 사용하였고, 산출요소로는 총매출액을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온라인 디지털 콘텐츠 산업의 기술적 효율성은 상당히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주로 규모의 비효율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기술혁신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산업성장전략 추진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으로 향후 온라인 디지털 콘텐츠 산업의 경쟁력 제고에 도움이 되는 실질적인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digital content industry is growing rapidly with the popularity of online content and mobile devices. This study estimates the technical efficiency of the online digital content industry, and identifies factors that could be causing inefficiency. Unlike most previous studies, which adopted input-oriented or output-oriented DEA model, this study employs non-oriented DEA model in order to deal with both input surpluses and output shortfalls. The input variables for the empirical analysis are number of companies and number of workers. The total sales is used as the output variables.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technical efficiency of the online digital content industry is relatively low mainly due to the scale efficiency rather than the pure technical efficiency. This implies that industry-specific policies should be implemented in order to improve technical efficiency as well as to strengthen technological innovation capability.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good reference for helping the online digital content industry enhance their competitivenes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