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낙태와 자살에 대한 인식

Paramedic students' perceptions of Abortion, and Suicide

  • 발행 : 2017.05.31

초록

본 연구는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낙태, 자살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2016년 응급구조학과 학생 115명을 대상으로 8문항의 낙태 인식도구와 58문항의 자살 인식도구를 사용하였고 낙태와 자살 관련문항은 각각 6문항과 2문항이었다. SPSS 21.0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와 ANOVA, 교차분석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낙태인식의 전체 점수는 $20.57{\pm}4.12$였고 자살인식의 전체 점수는 - $14.16{\pm}15.76$로 나타났다. 낙태 의사 결정자로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임신한 여성이라는 비율이 가장 높았고, 본인이나 친구가 원치 않은 임신인 경우 낙태를 하겠다가 가장 높았다. 자살을 생각해 본적이 있는 군이 남학생($-18.11{\pm}14.44$)과 여학생($-18.11{\pm}14.44$) 모두에서 그렇지 않은 군보다 자살인식이 높았고 여학생 중 가까운 지인의 자살 시도나 자살경험을 한 군($-17.82{\pm}17.89$)이 그런 경험을 하지 않은 군보다 자살 인식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죽음과 삶의 경계에서 늘 의사결정을 하여야하는 미래의 응급구조사인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생명을 존중할 수 있는 윤리관을 정립할 수 있도록 생명윤리 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교과과정을 마련하고, 가족이나 지인의 자살을 경험한 적이 있는 학생들과 여학생들을 중점으로 한 계속적인 상담과 교육을 통해 긍정적인 자살인식수준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abortion and suicide for 115 paramedic students in 2016.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perception of abortion(8items), the perception of suicide(58items), related 6items of the abortion and related 2 items of the suicid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test, Chi-squared test and ANOVA, using SPSS 21.0. As a result, the total perception score against abortion was $20.57{\pm}4.12$ and the total score of suicide perception was $-14.16{\pm}15.76$. The most answer was that pregnant women were abortion decision makers i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abortions were the highest when they might be unwanted pregnancies. The group who had thought about suicide was higher of perceptions of suicide than the group who did not. The female students who had suicide attempt or suicide experience of close acquaintances showed higher suicide perception score than those who did not. Therefore, A bio-ethics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prepared to establish ethics that respects life for future paramedic students who must make decisions at the boundary between death and life.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level of positive suicide perceptions through continuing counseling and education focusing on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suicide by family members or acquaintanc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