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2022.06a
- /
- Pages.389-390
- /
- 2022
항만하역업 안전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bstract
Recently, Recently, the increase in international trade volume and the explosive increase in cargo volume due to the non-face-to-face society are leading to an increase in risk exposure and safety accidents in the port industry. In addition, as the Serious Disaster Punishment Act came into effect on January 27, 2021, various guidelines and laws to protect safety and life in port terminals are being enacted. However, despite these efforts, medium-to-large safety accidents in the port terminal industry continue to occur. According to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from 2016 to 2019, the number of casualties in the port handling industry increased by 4.2%. For effective follow-up management of port accidents or the preparation of related safety laws/systems, a risk analysis in consideration of the cause and damage of the accident must be conducted first, so that realistic accident reduction and prevention measures can be established. Therefore, in this study, major risk factors and preventive measures were derived by conducting risk assessment based on 1,039 cases of port terminal accidents collected by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for 5 years from 2016 to 2022. After that, the priorities for preventive measures were determined through IPA analysis, Borich needs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analysis.
최근 국제 교역량 증가와 비대면 사회 기조에 따른 물동량 폭증은 항만산업 내 위험 노출 및 안전사고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이와 함께 2021년 1월 27일부터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되면서 항만터미널 내 안전 및 생명을 보호하는 각종 지침과 법안들이 제정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항만터미널산업 내 중대형 안전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19년 동안 항만하역업의 재해자수는 4.2%씩 증가하였다. 항만 사고의 효율적인 사후관리나 관련 안전 법/제도의 마련을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사고 원인과 피해를 고려한 위험도 분석이 진행되어야 현실적인 사고 저감방안과 방지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6년부터 2022년까지 5년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집계된 항만터미널 사고사례 1,039건을 바탕으로 위험성 평가를 진행하여 주요 위험요인 및 예방대책을 도출하였다. 이후 IPA분석과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분석을 통해 예방대책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