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fficiency Analysis for the Domestic Container Terminals Considering Carbon Dioxide Emissions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고려한 국내 컨테이너터미널 효율성 분석

  • Min-Seop Sim (Department of Convergenc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
  • Yul-Seong Kim (Logistics system engineering,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 심민섭 (한국해양대학교 해양콘텐츠융복합협동과정 물류시스템전공) ;
  • 김율성 (한국해양대학교 물류시스템공학과)
  • Published : 2023.11.02

Abstract

Recently, decarbonization has been emphasized worldwide to cope with climate change, and carbon neutrality by 2050 has emerged as a global agenda. The domestic port authorities have been participating in the global agenda in line with the government regulations. Since 2010, when decarbonization has been regarded as an important assignment in ports, container terminal efficiency considering undesirable outputs such as Carbon dioxide has been analyzed. However, most previous studies measured carbon dioxide emissions according to the Tier 1 and it is a first time to analyze container terminal efficiency based on the Tier 3 presented in the IPCC guidelines. 17 domestic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were considered as decision making units and DEA-SBM Model was used. Subsequently, Undesirable outputs model was conducted to calculate the environmental efficiency.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탈탄소화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2050 탄소중립'이 글로벌 의제로 부상하였다. 국내 항만공사는 우리나라 정부의 탄소중립 추진과제에 맞추어 세계적인 탄소중립 규제 흐름에 동참하고 있다. 항만에서 탈탄소화가 중요하게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2010년대 이후로 유해산출물을 고려한 컨테이너터미널 효율성 분석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고려하여 국내 컨테이너터미널의 효율성을 비교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그리고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IPCC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고 있는 Tier 1 기준에 따라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측정하였으며, Tier 3 기준에 따라 효율성을 분석한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7개 국내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를 대상으로 Tier 3 방식 기준 이산화탄소 배출량 지표를 활용하여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DEA-SBM 모형과 Undesirable Outputs 모형 분석결과를 비교하여 유해산출물 고려 전후의 효율성 변화를 파악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