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a Suppressor System for Segregation-Distorter Action in Natural Populations of Drosophila melanogaster in Korea

한국산 초파리의 자연집단에 있어서의 SD 요소에 대한 억제요인에 대하여

  • Published : 1969.03.01

Abstract

In order to see if any suppressor system for the SD action was involved in natural populations of D. melanogaster samples from the populations of nine localities in Korea, Choonchun, Yusoo, Namhai, Shinchon(Seoul), Kwangjoo(Kyunggi), Koonsan, Kwangjoo(Chunnam), Jejoo and Pusan were analyzed by using the mating scheme for locating the suppressor on chromosome pairs. And also two kinds of recombinant SD lines R-1, the American line and $R(SD^NH -1)-1$, the Japanese one were used in order to see any difference of the response of the suppressor for differently originated SD.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given below. (1) The suppressor system was involved in all lines of natural populations from nine localities of Korea. (2) Most of the suppressors were found to be located on the X chromosome and only a few lines from three populations showed to carry the suppressors on the second chromosome and on the third or fourth chromosoem. (3) The response of the suppressor for differently originated SD lin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Hiraizumi, Sandler, Crow(1960)는 미국의 Wisconsin 주 Madison의 D. melanogaster의 자연 집단을 분석하여 다수의 제 2 염색체가 SD 작용에 대한 억제 요인을 지니고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최근에는 Hiraizumi 와 Nakajima(1965)가 일본의 자연 집단도 그러한 억제요인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으며 Hiraizumi 와 Kataoka(1965)는 그 억제요인이 주로 X염색체에 있다고 보고 한바 있으며 Kataoka(1967)는 그 억제 요인의 X염색체상의 좌위를 결정하였고 억제요인을 지니고 있는 염색체의 빈도와 그 행동등 광범위한 연구를 한 바 있었다. 본인은 D. melanogaster의 한국 자연집단에도 이러한 억제요인이 SD 작용에 관여하고 있는지 (1)그리고 있으면 어떤 염색체에 들어 있는지 (2)를 연구하기 위하여 한국 9개 지역으로 부터의 자연집단 (춘천, 여수, 남해, 신촌, 광주(경기도), 군산, 광주, 제주, 부산)을 대상으로 하여 두가지 SD Stock[R-1, $R(SD^NH -1)-1$]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 결론을 얻었다. 1. 9개 집단은 모두 억제 요인을 지니고 있었다. 2. 억제 요인은 대개 X염색체에 들어 있으며 그중 3 집단에서는 그 요인이 제 III 또는 IV 염색체에 그리고 제 II 염색체에 있는 경우도 있었다. 3. 기원이 다른 SD[R-1, 미국; $R(SD^NH -1)-1$, 일본]에 대한 억제 요인의 반응은 큰 차이를 볼 수 없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