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biological Studies of Korean Native Soy-sauce Fermentation: A Study on the MicroBora of Fermented Korean Maeju Loaves

한국 재래식간장의 발효미생물에 관한 연구 -한국재래식메주에 발효미생물군에 대하여-

  • Cho, Duck-Hiyon (Department of Food Technology,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Woo-Jin (Department of Food Technology,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조덕현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식품공학과) ;
  • 이우진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식품공학과)
  • Published : 1970.03.31

Abstract

Five samples of Korean native Maeju(fermented soy-bean mash) loaves which were collected each from Kyunggi, Chungchung, Kangwon, Cholla and Kyungsang-Do were examined for their fermenting microorganisms. The results of taxonomic and ecological studies of fermentation microorganisms in these Maeju loaves were as the fellows. (1) The fungus flora grew only is the outer layer of Maeju loaves. Miscellaneous molds, 3 species of Mucor, 2 species of Pericallium., one species each of Scopulariopsis and Aspergillus, were isolated. None of them seemed exclusively predominant to be able to designate as the ecologically significant. (2) The bacterial flora which consisted of two species, Bacillus subtilis and Bacillus pumilus were distributed uniformly in th a entire Maeju loaves. The inner parts of Maeju loaves were especially inhabited solely by these bacterial flora. Probably the Korean native Maeju fermentation could be characterized by these bacterial flora. A Staphylococcus species was also isolated probably as a casual contaminant. (3) The yeasts, Rhodotorula flava and Torulopsis dattila, were isolated from Maeju loaves though their ecological significance was not clear. (4) The ecological aspects of fermentation microbes in the outer and inner parts of Maeju loaves were apparently different, consequently different fermentation processes might have occurred in these two parts and it brought quite different final outlooks in the final matured Maeju loaves. The outer part, rather rigid and dry, retained the light brown color of boiled soy-bean; whereas the inner part, soft and sticky, showed dark brown color indicating severe chemical changes. (5) The aflatoxin producing mold, Aspergillus oryzae was isolated from one sample among 5 of Maeju loaves. In addition to the low probability of isolability from Maeju loaves samples, since this mold grew only in the outer layer of Maeju loaves with such a low population density, about $10^4/g$, perhaps the aflatoxin problem in Korean native soysauce may not be critical.

한국의 경기, 충청, 강원, 전라 및 경상도에서 각각 한개씩 취한 5개의 한국 재래식 메주의 발효 미생물을 분류 및 생태학적 견지에서 조사 연구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발효 미생물중 molds는 메주 덩어리의 표면층의 부분에만 존재하며 그 종류는 잡다하여 주요 균종을 알아낼 수는 없었으나 본 실험에서는 3종의 Mucor, 2종의 Penicillium, 각 1종의 Scopulariosis 및 Aspergillus를 분리할 수 있었다. 2. 발효 미생물중 bacteria는 메주덩어리 전체에 골고루 조밀하게 분포되어 있었으며 특히 덩어리 내부에는 bacteria만이 존재하였다. Bacteria의 균종은 단순하여 Bacillus subtilis와 Bacillus pumilus가 한국 메주의 거의 전 bacteria군을 형성하고 있어 한국 메주의 발효 숙성은 bacteria군의 발효에 의한 것이 그 특색이 아닌가 생각되었다. 한국 메주에서는 그외에 Staphylococcus의 1종도 분리되었다. 3. 5개의 메주 시료중 2개의 메주 시료에서는 Rhodotorula flava 및 Torulopsis dattila의 2종의 yeasts가 분리되었으나 이들 yeasts가 메주의 발효 미생물군 형성에 괼요한 것인지의 여부는 아직 분명치 않았다. 4. 한국 재래식 메주는 그 부피의 약 1/2을 차지 하늘 덩어리의 표면층의 부분과 내부부분에있어서 발효 미생물의 생태가 다르며 따라서 이들 발효미생물에 의한 메주의 발효 숙성에 따른 화학적인 변화도 이 두 부분이 서로 상이하여 숙성된 메주는 그 질이 이 두 부분에 있어서 다르다고 인정되었다. 즉 메주의 외측부분은 견고하게 건조하여 삶은 콩이 그리 변질되지 않았으나 메주내부는 삶은콩이 세균에 의하 연하고 끈끈하고 암갈색으로 심하게 변하였다. 5. 한국 재래식 메주 5재 시료중 한개 시료에서만 Aspergillus oryzae가 분리되었으며 그 생육밀도도 ${\sim}10^4/g$의 희박한 것이고 또 이 mold가 자랄수 있는 것은 메주 덩어리의 표면 층 뿐이므로 한국재래식 메주에 있어서는 이 mold가 생산하는독소 aflatoxin은 일본식 메주의 경우처럼 심각한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고 생각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