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Chemical Constituents of Barley in Korea -I. Varietal Difference in Protein and Carbohydrate Contents of Polished Barley-

한국산(韓國産) 보리의 화학조성(化學組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I. 대맥(大麥) 품종별(品種別) 보리쌀의 단백질(蛋白質) 및 탄수화물(炭水化物) 함량(含量)-

  • 이동석 (한양대학교) ;
  • 박훈 (농촌진흥청 식물환경연구소)
  • Published : 1972.06.28

Abstract

Protein and carbohydrate contents in polished barley were investigated for two leading varieties in Korea.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total\;nitrogen{\times}5.83)$ were 8.60% for mean. 15.39% for maximum and 6.06% for minimum, and only one third of 22 varieties showed values above mean.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ye binding capacity $(r=0.82^{**})$but insignificantly carbohydrate content. Kyong No.1 (15.39%), Kwan-Chui-Gi (12.42) and Yong-Weul-Yuk-Kak (11.95) can be classified as high protein varieties having appear to be unpopular to farmers. About 50% of barley field was occupied by varieties having protein content above mean, and Kyongnam-Daimaik no.89 (6.76%) a low protein variety, occupied about 8% of barley field, during last decade with little change.

대맥주요(大麥主要)품종 22개의 보리쌀 중 단백질(蛋白質) 및 전탄수화물(全炭水化物) 함량(含量)을 분석(分析)하고 재배현황(栽培現況)의 연간추이(年間趨移)와 관계(關聯) 검토(檢討)하였다. 조단백함량(粗蛋白含量) $(N{\times}5.83)$은 평균(平均) 8.60 최고(最高) 15.39% 최소(最小) 6.06%이었고 약 1/3이 평균치(平均値) 이상(以上)이었다. 조단백(粗蛋白) 함량(含量)은 dye-binding capacity와 유의정상관(有意正相關)$(r=0.82^{**})$을 보였으나 탄수화물(炭水化物)과는 유의성(有意性)없는 부상관(否相關)을 보였다. 경1호(京1號)(15.39%), 관취기(關取埼)(12.42%) 및 영월육각(寧越六角)(11.95%)의 세품종만 고단백품종(高蛋白品種)으로 볼 수 있으나 거의 재배(栽培)되지 않고 있다. 지난 10년간(年間) 대맥(大麥)의 품종별 재배면적비(品種別 栽培面積比)는 거의 변화(變化)가 없으며 조단백함량(粗蛋白含量) 평균치이상(平均値以上)이 품종(品種)이 전대맥재배면적(全大麥栽培面積)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으며 경남대맥(慶南大麥) 89호(號)는 단백함량(蛋白含量)이 상당히 낮은 데도 불구(不拘)하고 8%의 면적(面積)을 차지하고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