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水稻)의 군락(群落) 및 양분(養分) 흡수(吸收)가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nopy Structure on Paddy Yield in Relation to Nutrient Uptake

  • 발행 : 1972.05.05

초록

벼의 생산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진흥의 곡실 생산량을 기준하여 저위 (500kg/10a 이상), 중위 (600kg/10a 이상), 고위 (700kg/10a 이상)로 구분하고 이들벼의 군락조성 및 영양상태를 조사한 결과 1. 고위수량인 경우에는 출수후 엽면적이 크고 완만하게 줄어드는데 비해 저위수량인 경우는 엽면적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2. 고위수량인 경우는 저위수량인 경우에 비해 생육초기에는 투광율이 높고 생육후기에는 낮았으며 투광율대 엽면적비도 고위수량인 경우에서 높다. 3. 순동화량(N.A.R.)은 엽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저위수량인 경우에 비해 고위수량인 경우가 높았다. 4. 질소흡수량은 고위수량인 경우가 저위수량인 경우에 비해 절대 흡수량이 높고 흡수속도도 전생육기간을 통해 완만하며 저위수랑인 경우는 초기 질소흡수가 많고 출수기에 질수흡수를 종결하는데 비해 고위수량인 경우는 초기 흡수가 적고 출수후에도 상당량의 질소를 흡수하였다. 5. 출수기 전분축적량이 수확기 총생산량에 대하여 저위수량인 경우 40%인 반면 고위수량인 경우에는 약 10%로서 고위수량은 출수후 전분생산량에 의존도가 크다. 6. 수량구성요수중 이차생산능력인 곡실생산능력을 가장지배하는 인자는 등숙비율이였다.

For the increase of productivity, canopy structure and nutritional status in various productivity grades (high>700, medium>600 and low>500kg/l0a as head rice) were investigated in a study using Jinheung(Oryza sativa L.) for the increase of producticity with following results: 1. High yield plot showed greater leaf area and slow decrease of it after heading stage. While low yield plot had rapidly decrease of leaf area. 2. High yield plot showed higher light transmission ratio (LTR) durnig early grow stage, low LTR. during late grow stage, and higher leaf area per LTR. 3. Net assimilation ratio was decrease with the increase of leaf area index (LAI) and it was always higher in high yield plot. 4. High yield plant had greater amount of total nitrogen uptake, slow uptake rate, and considerable uptake after heading while low yield plant showed higher uptake of nitrogen in early stage of growth and no uptake after heading. 5. The percent ratio starch at heading to total at harvesting was 40% for low yield plant and 10% for highyield plant inderting that high yield depends much on past-heading starch synthesis. 6. Main factor determining secondary yield was ripened grain ratio.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