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orphology,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d-Yellow Soils in Korea

우리나라 전토양(田土壤)의 특성(特性) (저구릉(低丘陵), 산록(山麓) 및 대지(臺地)에 분포(分布)된 적황색토(赤黃色土)를 중심(中心)으로)

  • Accepted : 1972.11.25
  • Published : 1973.03.20

Abstract

Red Yellow Soils occur very commonly in Korea and constitute the important upland soils of the country which are either presently being cultivated or are suitable for reclaiming and cultivating. These soils are distributed on rolling, moutain foot slopes, and terraces in the southern and western parts of the central districts of Korea, and are derived from granite, granite gneiss, old alluvium and locally from limestone and shale. This report is a summary of the morphology,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Red Yellow Soils. The data obtained from detailed soil surveys since 1964 are summarized as follows. 1. Red-Yellows Soils have an A, Bt, C profile. The A horizon is dark colored coarse loamy or fine loamy with the thin layer of organic matter. The B horizon is dominantly strong brown, reddish brown or yellowish red, clayey or fine loamy with clay cutans on the soil peds. The C horizon varies with parent materials, and is coarser texture and has a less developed structure than the Bt horizon. Soil depth, varied with relief and parent materials, is predominantly around 100cm. 2. I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the clay content of surface soil is 18 to 35 percent, and of subsoil is 30 to 90 percent nearly two times higher than the surface soil. Bulk density is 1.2 to 1.3 in the surface soil and 1.3 to 1.5 in the subsoil. The range of 3-phase is mostly narrow with 45 to 50 percent in solid phase, 30 to 45 percent in liquid one, and 5 to 25 percent in gaseous state in the surface soil; and 50 to 60 solid, 35 to 45 percent liquid and less than 15 percent gaseous in the subsoil. Available soil moisture capacity ranges from 10 to 23 percent in the surface soil, and 5 to 16 percent in the subsoil. 3. Chemically, soil reaction is neutral to alkaline in soils derived from limestone or old fluviomarine deposits, and acid to strong acid in other ones. The organic matter content of surface soil varying considerably with vegetation, erosion and cultivation, ranges from 1.0 to 5.0 percent. The cation exchange capacity is 5 to 40 me/100gr soil and closely related to the content of organic matter, clay and silt. Base saturation is low, on the whole, due to the leaching of extractable cations, but is high in soils derived from limestone with high content of lime and magnesium. 4. Most of these soils mainly contain halloysite (a part of kaolin minerals), vermiculite (weathered mica), and illite, including small amount of chlorite, gibbsite, hematite, quartz and feldspar. 5. Characteristically they are similar to Red Yellow Podzolic Soils and a part of Reddish Brown Lateritic Soils of the United States, and Red Yellow Soils of Japan. According to USDA 7th Approximation, they can be classified as Udu Its or Udalfs, and in FAO classification system to Acrisols, Luvisols, and Nitosols.

우리나라 전작물(田作物)의 저위생산성의 원인(原因)과 그 대책(對策)을 토양학적(土壤學的)인 면(面)에서 추궁(追窮)함에 있어 우선(于先) 현재경작(現在耕作)이 많이 되여 있고 또 앞으로 개발(開發)의 가능성(可能性)을 가진 저구릉(低丘陵), 산록(山麓) 및 대지(臺地)의 적황색토(赤黃色土)에 대(對)하여 현재(現在)까지 밝혀진 조사(調査)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적황색토(赤黃色土)는 우리나라 남부(南部)를 비롯하여 중부이북(中部以北)의 저구릉(低丘陵), 산록(山麓) 및 대지(臺地)에 분포(分布)하고 있으며 화강암(花崗岩), 화강편마암(花崗片麻岩)을 비롯한 석회암(石灰岩), 혈암(頁岩) 그리고 홍적층(洪積層) 등(等)을 모재(母材)로 하고 있다. 2. 적황색토(赤黃色土)는 A, Bt, C층(層)으로 되여 있다. A층(層)은 유기물(有機物)이 엷게 덮여서 암색(暗色)을 띄우는 양질(壤質), 식양질(埴壤質)이며 Bt층(層)은 진갈색(眞褐色), 적갈색(赤褐色), 황적색(黃赤色)의 식질(埴質) 혹은 식양질(埴壤質)로서 토괴표면(土塊表面)에 점토피막(粘土皮膜)이 형성(形成)되여 있다. C층(層)은 모재(母材)에 따라 다양다색(多樣多色)하며 Bt층(層)에 비(比)하여 토성(土性)이 거칠고 토양구조(土壤構造)의 발달(發達)이 없다. 토양(土壤)의 깊이는 지형(地形) 모재(母材)에 따라 다르나 대부분(大部分)이 100cm 이내(內外)이다. 3. 적황색토(赤黃色土)의 물리적성질(物理的性質)에 있어 점토함량(粘土含量)은 표토(表土)에서 18~35% 심토(心土)에서 30~90%로서 심토(心土)의 점토함량(粘土含量)은 표토(表土)에 비(比)하여 약(約) 2배(倍) 내외(內外)가 된다. 가비중(假比重)은 표토(表土)에서 1.2~1.3심토(心土)에서 1.3~1.5 그리고 삼상(三相)의 분포(分布)는 표토(表土)에서 고상(固相) 45~50 액상(液相) 30~45, 기상(氣相) 5~25, 심토(心土)에서 고상(固相) 50~60, 액상(液相) 35~45, 기상(氣相) 15미만(未滿)으로 대부분(大部分)이 치밀(緻密)하다, 유효수분범위(有効水分範圍)는 비교적(比較的) 좁아서 표토(表土)에서 10~23%, 심토(心土)에서 5~16% 범위(範圍)이다. 4. 적황색토(赤黃色土)의 화학적성질(化學的性質)에 있어 토양반응(土壤反應)은 모재(母材)에 따라 달라서 석회암(石灰岩) 및 구하해혼성퇴적(舊河海混成堆積)을 모재(母材)로한 토양(土壤)에서는 중성(中性) 급지(及至) 염기성(鹽基性) 그밖의 토양(土壤)에서는 산성(酸性) 급지(及至) 강산성(强酸性)을 띠운다. 표상(表上)의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은 식생(植生), 침식(侵蝕), 경종(耕種) 등(等)에 따라서 차(差)가 크며 1.0~5.0% 범위(範圍)에 있다. 염기치환용량(鹽基置換容量)은 5~40me/100gr이며 이는 유기물(有機物), 점토(粘土), 미사함량(微砂含量) 등(等)과 밀접(密接)한 관계(關係)를 가지고 있다. 치환침출염기(置換浸出鹽基)는 용탈(溶脫)되여서 염기포화도(鹽基飽和度)가 대체(大體)로 낮지만 석회암(石灰岩)에 기인(基因)된 토양(土壤)에서는 석회(石灰), 마구네슘함량(含量)이 높아서 염기포화도(鹽基飽和度)도 높다. 5. 적황색토(赤黃色土)의 점토광물(粘土鑛物)은 대부분(大部分)이 Kaolin 광물중(鑛物中)의 하나인 Halloysite와 운모(雲母)의 풍화생성물(風化生成物)인 Vermiculite, Illite를 주광물(主鑛物)로 하고 있으며 소량(少量)의 Chlorite, Gibbisite, Hematite 혼층광물(混層鑛物)과 1차(次) 광물(鑛物)인 석영(石英) 및 장석(長石)이 존재(存在)한다. 6. 적황색토(赤黃色土)는 미국(美國)의 Red-yellow podzolic Soils 및 Reddish Brown Lateritic Soils의 일부(一部) 그리고 일본(日本)의 적황색토(赤黃色土)와 유사(類似)한 특성(特性)을 가진다. 미(美)7차(次) 시안(試案)에 의(依)하면 적황색토(赤黃色土)는 Udults 및 Udalfs 그리고 FAO 분류안(分類案)에 의(依)하면 Acrisols, Luvisols 그리고 Nitosols로 분류(分類)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