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Mechanism of Pigmentation during Storage of Canned Boiled Oysters I. Isolation and Spectroscopic Characterization of Pigments Isolated from Brown Oysters

보일드 굴 통조림의 저장에 따르는 변색원인에 관한 연구 제1보.굴의 갈변 원인 색소의 분리 및 그 분광학적 성질

  • 이태녕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화학과) ;
  • 장유경 (한양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과) ;
  • 최춘언 (농어촌 개발공사)
  • Published : 1974.12.28

Abstract

Pigments were extracted by aqueous acetone from the boiled canned oyster colored during storage and then the components were separated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Totally eleven pigments could be isolated including one yellow, one red, five orange or reddish orange and four green components, and their UV-visible spectra were measured. It can be envisioned from the electronic spectral study and color reaction on the indivisual pigments isolated from the brown acetone extracts that the green pigments as well as most of the yellow orange ones may be porphyrin derivatives originated probably from the chlorophyll and some of the orange pigments contains ketocarotenoids. In particular, the pigment of band 8 which is expected to be pheophytin a or its derivatives and the carotenoid band 7 seem to be the major pigment. The close resemblance of the chromatogram of the colored muscle extract to that of the viscera suggests that the brown coloring material is probably originated from the viscera pigments.

저장중에 변색(變色)된 굴통조림의 황변패육부위(黃變貝肉部位, 생식소(生殖巢)) 및 청록색 내장(주로 소화육낭(消化育囊))을 각각 함수(含水) 아세톤으로 추출하여 얻은 색소 물질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로 분리하였다. 함수 아세톤으로 추출한 색소 추출액으로 부터 11종 의 황색 (1종), 적색 (1종), 등색 또는 적등색(赤燈色)(5종) 및 녹청(綠靑)(4종) 색소를 분리하고 각각의 가시 부 흡수 스펙트럼을 얻었다. 전자 흡수 스펙트럼 및 몇가지 발색반응(發色反應)에 의하여 함수 아세톤에 의해 추출되는 황갈색(黃褐色) 색소액의 성분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청록색색소에 있어서는 물론 대부분의 황등색 색소들도 클로로필 (chlorophyll)의 분해로 유래되었다고 생각되는 포르피린(porphyrin) 유도체이며 일부의 황등색 색소는 carbonyl 원자단을 갖인 캐로틴오이드(carotenoid)로 추정되었다. 특히 피오피틴(pheophytin) a 내지 그 유연체(類緣體)라고 생각되는 밴드 8의 색소와 캐로틴오이드 라 추정되는 밴드 7의 색소가 함량이 높은 주요 색소들이다. 황변패육(黃變貝肉)의 추출물의 크로마토그람이 내장의 추출액의 그것과 정성적으로 유사한 점으로 미루어 보아 패육(貝肉)의 황변물질(黃變物質)은 내장 색소에서 유래되며 이 황갈 변색을 일으키는 phorphyrin 유도체 및 carotenoid 들은 함수 아세톤에 잘 용해되는 성질의 것임을 알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