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Chemical Constituents of Barley in Korea II. Relationship between protein content and P, K, Ca, or Mg among barley varieties

한국산(韓國産) 보리의 화학조성(化學組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대맥품종별(大麥品種別) P, K, Ca, Mg 함량(含量)과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과의 관계(關係)

  • 박훈 (농촌진흥청농업기술연구소) ;
  • 이동석 (한양대학교)
  • Published : 1975.06.28

Abstract

In polished barley of 22 varieties protein content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MgO of $P_2O_5$ content (at p=0. 01), $K_2O$ (at p=0. 05), but it was not related to CaO. Dye binding capacity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at p=0. 01) with MgO or $P_2O_5$. Thus MgO could be used for mass screening of protein content. Carbohydrate content showed in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coefficients with above four mineral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t p=0. 01) among $P_2O_5$, $K_2O$ and MgO. The mean contents of $K_2O$, $P_2O_5$, MgO and CaO were 0. 03, 0. 29, 0. 084 and 0. 043%, respectively.

스물두개 품종(品種)의 보리쌀중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은 Mg와 P 함량(含量)과 1%에서, K 함량(含量)은 5% 수준(水準)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있으나 Ca와는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색소결합능(色素結合能)(dye binding capacity)과는 Mg 와 P 함량(含量)과만 1%에서 유의상관(有意相關)이 있었다. Mg 및 P 는 단백질함량(蛋白質含量) 식별지표(飾別指標)로 사용(使用)될 가능성(可能性)을 보였다. 이들 4개무기성분함량(個無機成分含量)과 탄수화물(炭水化物)과는 모두 유의성(有意性)없는 부상관(負相關)을 보였다. P,K,Mg 상호간(相互間)에는 1% 수준(水準)에서 유의상관(有意相關)을 보였다. 보리쌀 중 $K_2O$,$P_2O_5$, CaO 및 MgO 의 평균(平均) 함량(含量)은 각기 0. 30, 0. 29, 및 0. 08, 0. 043%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