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Brewing Conlditions of Takjoo with Commercial Enzyme (Part 2) Quality Examination of Takjoo

시판 정제산소제를 이용한 탁주제조에 관한 연구 (제이보) 탁주의 품질검토

  • 강효원 (건국대학교 공대 미생물공학과) ;
  • 권태종 (건국대학교 공대 미생물공학과) ;
  • 이일근 (건국대학교 공대 미생물공학과)
  • Published : 1975.01.01

Abstract

The chemical components and quality of Takjoo mash were examined on the product brewed by the case of commercial amylase, Lactobacillus bulgaricus and the yeast. 1. Lactic acid was produced at the range of 917~1,350 mg per 100 ml of the mash brewed using wheat flour, corn flour, rice and pressed barley, while succinic acid was formed at the range of 6~32 mg per 100m1 of the mash. 2. Citric acid was formed at the concentration of 6.5mg per 100m1 of the mash on the use of pressed barley, and malic acid formed at the concentration of 1.7 mg and 1.4 mg per 100m1 of the mash respectively, on the use of wheat flour and corn flour. 3. No remarkable differences between the kind of raw materials and commercial amylases and compared with the mash brewed with Nurook were observed in the components of fusel oil formed in the mash. 4. Seventeen kinds of the amino acids of the mash brewed with commercial amylase, Lactobacillus and the yeast were detected and its content was 31mg per 100ml, which is less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takjoo, but the contents of glycine and alanine which pray as the component of seasoning in takjoo were sufficient.

시판정제효소제(당정)와 L. bulgaricus를 이용하여 탁주류를 제조하면서 성분분석과 품질을 검토하였다. 1. 유기산의 함양에 있어서, 밀가루, 옥수수, 팔, 눌린 보리쌀 등 4종류의 원요를 통하여 917~1,350mg/ml의 lactic acid가 생성되었으며 succinic acid는 6~32mg/100m1이다. 종내의 누주중의 유기담으로서 는 lactic acid와 succinic acid가 대표적으로 많이 합유된 유기산인데 비하면 suceinic acid의 함양은 현저하게 적다. 이외에 종내의 탁주에서 검출되여 알려진 유기산에는 citric acid, malic acid, maleic acid, fumaric, malonic acid, oxalic acid 등이 있으며, citric acid와 malic acid는 비교적 그외의 산보다 많은데 비하여 본실험의 것에서는 fumaric acid와 malonic acid는 검출되지 않았였고 눌린 보리쌀을 사용했을때, 6.5mg/100m1의 citric acid를, 그리고 밀가루와 옥수수를 사용하였을때 각각 1.7 mg/100ml와 1.4 mg/ml의 malic acid를 생성하였을뿐 그외는 흔적으로 검출되었다. 2. fusel oil의 조성은 원요와 효소제의 종유에 관계없이 대동소이하다. 즉, i-amyl alcohol는 (1.50~2.77)$\times$$10^{-2}$g/100m1로서 공통적으로 가장 많고, i-butyl alcohol는 (0.68~1.30)$\times$$10^{-2}$g/100m1이며 n-propyl alcohol는 (0.20~0.34)$\times$$10^{-2}$g/100m1, $\beta$-phenyl ethyl alcohol는 0.18$\times$$10^{-2}$g/100m1 이하의 순으로 적다. 종내의 효소제에 의한 것도 누룩을 사용하였을때 0.70$\times$$10^{-2}$g/100m1의 $\beta$-phenyl ethyl alcohol을 예외로 하면 각각 상기범전에 들어있다. 3. 아미노산의 조성분은 홍등의 실험에서와 같이 17종을 함유하고 있으며 총아미노기양에 있어서 본실험의 것이 31mg/100m1로서 비교적 적으나 주유의 조미성분으로서 중요한 glycine과 alanine이 0.6023 mg/100m1와 4.3129 ml/100ml 검출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