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Korean Soysauce and Soypaste Making on Soybean Protein Quality Part II. Chemical Changes During Meju-brine Ripening

재래식 간장 및 된장 제조가 대두 단백질의 영양가에 미치는 영향 제2보 메주장의 숙성중에 일어나는 성분 변화

  • Lee, Cherl-Ho (Department of Food Preservation, The Royal Veterinary and Agricultural University)
  • 이철호 (덴마크 왕립농과대학 식품저장학교실)
  • Published : 1976.03.28

Abstract

The laboratory Mejus as well as home-made Meju and improved Meju received from Korea were ripened in the brine for up to 8 months and the changes is the chemical composition during the process were determined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ypes of Meju were compared. On the basis of the amino acid pattern, the changes in the protein quality of soybean during the process was evaluated.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general chemical composition of Meju were noticed during the ripening for 8 months. However, the nitrogen solubility of Meju increased for $13{\sim}29%$ to $66{\sim}78%$ during 8 month ripening of the Meju-brine mixture. The concentration of free amino-N to the total-N increased from $4{\sim}7%$ in Meju to $29{\sim}35%$ in the 8month ripened mixture. The concentration of amino-N to the total-N increased from $1{\sim}4%$ in Meju to $5{\sim}14%$ in the 8month ripened mixture and the changes varied with the type of Meju used. Remarkable changes in the amino acid pattern of soybean were occured during the ripening process. The concentration of methionine decreased to the half of original Meju during the first month of ripening. Arginine and histidine were destroyed rapidly by the ripening longer than 1 month. A considerable amount of ornithine was synthesized during the ripening. The amino acid pattern of Meju did change drastically during the ripening longer than 3 months and the changes varied with the type of Meju. The retention of the nutrients in soybean during 8 month ripening of the laboratory 3 month Meju in the brine was 49% for carbohydrates, 107% for crude fat, 93% for crude protein and 74% for the total amino acid. Histidine, arginine and methionine and 74% for the total amino acid. Histidine, arginine and methionine were the most damaged during the process, retaining only 25%, 27% and 49% of the contents in raw soybean, respectively, whereas lysine retained 79%. By the separation of the 8 month ripened mixture, approximately 60% of crude protein, all of crude fat and 80% of carbohydrates in the mixture were retained in soypaste. Soypaste contained higher concentrations of amino acids per 16gN compared to soysauce, except for lysine. The most limiting amino acid of the protein was the S-containing amino acids in all cases studied, whereas the second limiting amino acid varied from valine in soybean to threonine in most of Mejus and the brine mixtures, lysine in most of soypastes and tryptophan in some of soysauces. According to the protein quality evaluation made by the reference of the FAO provisional pattern of amino acid, the chemical score of raw soybean was 82, which was reduced to 77 by cooking and further reduced to $71{\sim}74$ by Meju fermentation. At the eighth month of ripening the chemical score of the Meju-brine mixtures were reduced to $51{\sim}66. After the separation, the chemical score of soypaste ranged from 60 to 71, whereas that of soysauce varied from 45 to 57. Generally, the products made from improved Meju recorded the highest score, whereas those made from homemade Meju showed the poorest protein quality. The essential amino acid index(EAAI) of the samples was similar to the chemical score, but it appeared to fit the overall changes in the amino acid pattern during the process better than the chemical score.

실험실에서 제조된 메주와 한국에서 보내온 재래식가정 메주와 개량메주를 사용하여 장을 담그고 8개월동안의 숙성(장담금)기간중 일어나는 화학성분변화를 검토하였고 메주 종류에 의한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분석된 아미노산 조성에 의거하여 과정에 일어나는 대두단백질의 영양가 변화를 추정하였다. 8개월간의 숙성기간중 일반 화학조성의 변화는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나 수용성 질소율은 메주의 $13{\sim}29%$에서 $66{\sim}78%$로 증가되었다. 유리아미노태 질소율은 메주의 $4{\sim}7%$에서 8개월 숙성후 $29{\sim}35%$로 증가되었으며 암모니아태 질소율은 $1{\sim}4%$에서 $5{\sim}14%$로 증가되었다. 메주장 숙성중에 일어나는 이들 질소화합물의 성분변화는 사용된 메주의 종류에 크게 의존하였다. 숙성중 메주의 아미노산 조성도 크게 변화되었으며, 특히 methionine은 숙성 1개월동안 급격히 감소하여 원래 농도의 거의 1/2에 달하게되며 그후 숙성 7개월동안 농도의 변화가 없었다. Arginine 과 histidine 은 숙성 1개월이 지난 후부터 나머지 7개월 동안 급격히 파괴되었다. 한편 메주제조 과정까지는 거의 존재가 없던 ornithine 이 숙성과정중에 상당량이 합성되었다. 대체적으로 숙성 3개월동안은 아미노산 조성의 전반적인 큰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으며, 이들 변화는 사용된 메주의 종류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3개월된 실험실 메주로 8개월 장담금을 하였을 경우 대두중의 영양가 수율은 탄수화물이 99%, 조지방이 107%, 조단백질이 93%, 총 아미노산이 74%였다. Histidine, arginine 및 methionine은 과정중 가장 심한 손상을 보였으며 회수율은 각각 25, 27, 및 49%였다. 한편 lysine회수율은 79%였다. 장 걸름 과정 즉, 간장과 된장의 분리과정에 의하여 메주장중에 함유된 약 60%의 조단백질, 거의 모든 조지방 및 80%의 탄수화물이 된장에 남아 있었다. 또한 된장은 lysine을 제외한 모든 아미노산의 농도(16g 중)가 간장보다 높았다. 대두 및 메주를 포함한 모든 시험장류의 제한 아미노산은 methionine 과 cystine 등 유황을 함유하는 아미노산이었으며 제2제한 아미노산은 원류대두에서 valine, 메주와 대부분의 메주장에서 threonine, 된장에서 lysine 그리고 대부분의 간장에서는 tryptophan 으로 나타났다. FAO 표준 아미노산 조성을 기준으로 한 원료 대두 단백질의 단백가(chemical score)는 82 였으며 이것은 대두의 삶음과정에서 77로 저하되었으며 메주발효과정에서 $71{\sim}74$로 다시 저하되었다. 재래식 가정메주의 단백가는 실험실 메주의 그것보다 낮았으며 개량메주는 실험실 메주보다 높은 단백가를 나타내었다. 메주장의 8개월 숙성후 단백가는 $51{\sim}66$으로 상당히 떨어졌으며 분리에 의하여 된장의 단백가는 $60{\sim}71$로, 간장은$45{\sim}57$의 단백가를 갖게되었다. 일반적으로 개량메주로 만든 장들이 높은 단백가를 가졌으며 가정 메주로 만든 장들은 가장 낮은 단백가를 나타내었다. 계란 단백질 조성을 기준으로한 필수 아미노산지수(EAAI)는 단백가(chemical score)와 유사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이 필수 아미노산지수는 검체단백질중의 아미노산조성의 전반적인 변화를 단백가보다 더 근사하게 나타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