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배 환경조건이 소맥품질에 미치는 영향 I. 지역별 수량성과 품질과의 관계

Influence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Wheat Quality I. Relationship between Grain Yield and Quality of the Wheat as related to Cultivated Locations

  • 류인수 (농촌진흥청 맥류연구소) ;
  • 장학길 (농촌진흥청 맥류연구소) ;
  • 안완식 (농촌진흥청 맥류연구소) ;
  • 송현숙 (농촌진흥청 맥류연구소)
  • 발행 : 1977.12.01

초록

우리나라에서의 소맥 수량성과 품질의 지역성을 파악할 목적으로 9개 품종을 8개 지역에 공시한 국장시험에서 종실수량 및 소맥분의 단백질 함량과 침전가를 검토하여 이들 상호간의 관계를 품종 및 지역별로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국적으로 본 종실수량과 m$^2$당 수수는 고도의 정상관$(r=0.53^{**})$을 보였다. 2. 품종별 전국 평균수량에서는 400kg/10a 이상의 품종은 조광, Bezostaya, Kitakamikomugi등 이었고 300~400kg/10a의 품종은 원광, 영광, Roussalka, Centurk등 이었으며 300kg/10a 이하의 품종은 Atlas 66, NE 701132이었다. 3. 지역별 수량에서 청주 이북의 4개소 평균수량은 275kg/10a이었고 유성 이남의 4개소 평균수량은 449 kg/10a로 남부지역에서 높았다. 4. 품종 및 재배지역에 따른 종실내 단백질함량과 침전가는 각각 8.9~12.6%, 32~58cc 및 9.0~11.4%, 38~56cc의 범위에 있었고 일반적으로 북부 재배지역에서 단백질 함량 및 침전가가 높았다. 5. 종실내 단백질 함량과 침전가는 고도의 정의 상관$(r=0.66^{**})$이 있었고 종실수량과 단백질 함량 및 침전가 간에는 각각 $-0.49^{**}$$0.39^{**}$의 부상관이 있었다. 6. 비침전가는 경질 소맥인 Centurk 및 NE 701132 품종에서 높은 반면 조광, Roussalka등의 연질 품종계열들에서는 낮은 경향을 보여 비침전가는 단백질의 질의 평가와 경연질 소맥분류의 좋은 지표가 되었다. 7. 비침전가에 의한 경연질 소맥의 분류기준은 비침전가 4이하는 연질소맥으로, 5이상은 경질소맥으로 그리고 4~5는 중간질 소맥으로 볼 수 있었다.

The relationship between grain yield. protein content and sedimentation value in wheat were studied using 9 varieties cultivated at 8 locations in Korea. The grain yields of wheat varied widely, according to varieties and locations.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grain yield and protein content, and grain yield and sedimentation value were observed, while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otein content and sedimentation value was observed. Specific sedimentation values of soft wheats were below 4, while those of hard wheats were above 5. The intermediate varieties had sedimentation values of 4-5. This showed that specific sedimentation values could be used as a criterion in the classification of wheat qualit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