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Meju Shapes and Strains on the Quality of Soy Sauce

Aspergillus oryzae 및 Aspergillus sojae를 이용한 개량(改良)메주의 형상에 의한 장류(醬類)의 품질비교

  • Kim, Sang-Soon (Dept. of Food & Nutri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김상순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Published : 1978.02.28

Abstract

Effect of shapes (noodle, grain and brick types) and strains (Aspergillus oryzae and Aspergillus sojae) of Meju (microorganism inoculated soybean substrate for fermentation) on the quality of soy sauce was investigated. Generally, the highest protease activity was found in the noodle type-Meju inoculated Asp. sojae during Meju preparation and soy sauce brewing, however, the lowest value was noted in brick type. Meju inoculated Asp. oryzae. Similar tendency was found on the contents of total solid, total nitrogen, amino-nitrogen, nitrogen digestion yield and amino-nitrogen ratio during soy sauce brewing. No effect was shown on the reducing sugar content, alcohol formation, pH, buffer action and salt content according to different Meju types during soy sauce brewing. Organoleptic tests on the color, taste and flavor of soy sauce after 3 months brewing with various Meju scored in the order of noodle type-Asp. sojae soy sauce (best quality), noodle type-Asp, orzae soy sauce, brick type-Asp. sojae soy sauce and brick type-Asp. oryzae-soy sauce (worst quality).

재래식(在來式)콩간장의 제조(製造)에 있어서 국균(麴菌)의 종류별(種類別), 메주의 형태별(形態別)로 담금하여 숙성과정(熟成過程)중의 효소력(酵素力)과 성분(成分)의 변화(變化)를 검토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메주 및 간장숙성과정(熟成過程)중의 protease 활성(活性)은 Asp. sojae로 제조한 종국(種麴)이 Asp. oryzae로 제조한 종국(種麴)에 비하여 높았고 국수형의 매주가 벽돌형의 메주에 비하여 높았으며 amylase활성(活性)은 Asp. oryzae균(菌)이 Asp. oryzae균(菌)에 비하여 대체로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2. 간장숙성기간(熟成其間)중의 총질소(總窒素), 아미노태질소(窒素), 순고형분(純固形分)의 함량과 비중(比重)은 Asp. sojae균(菌)의 국수형의 메주로 담금한 것이 가장 높았고 Asp. oryzae의 벽돌형메주로 담금함 것이 가장 낮았다. 3. 완층능은 Asp. sojae균(菌)의 국수형의 메주로 담금한 간장이 $1.77{\sim}2.56$으로서 가장 높았으며 알코올성분(成分)은 전시험구 공히 검출되지 않았고 암모니아태질소(窒素)의 함량은 각 시험구간의 큰 차가 없었다. 4. 간장 숙성기간(熟成其間)중의 단백분해율(蛋白分解率)과 질소이용율(窒素利用率)은 Asp. sojae균(菌)의 국수형메주가 가장 높았고 Asp.oryzae균(菌)의 벽돌형메주가 가장 낮았으며 특히 메주의 형태(形態)에 따라 질소이용율(窒素利用率)은 많은 차이(差異)를 나타냈다. 5. 3개월간 숙성(熟成)후 간장을 여과하고 남은 재래식(在來式) 장중의 일반성분(一般性分)은 수분(水分) $54{\sim}61%$, 아미노태질소(窒素) $457{\sim}682mg%$, 염분(鹽分) $18{\sim}23%$, 지방(脂肪) $5.4{\sim}9.1%$, 단백질(蛋白質) $8.6{\sim}9.4%$로 나타났고 이중 Asp. sojae균(菌)의 국수형메주의 경우 성숙도(아미노태질소의 mg%)가 가장 높았다. 6. 3개월간 숙성(熟成)한 간장을 색 맛 향기(香氣)등에 대하여 관능시험한 결과 Asp. sojae균(菌)의 벽돌형메주로 담금한 것이 가장 양호(良好) 하였으며 Asp. oryzae균(菌)의 벽돌형메주로 담금한 것이 가장 불량(不良)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