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SONAL VARIATIONS OF CHLORIDE, CALCIUM AND MAGNESIUM ION CONCENTRATIONS IN NAGDONG RIVER WATER AT MUL GEUM INTAKE STATION OF BUSAN CITY WATER FROM MARCH 1974 TO MARCH 1975

낙동강 물금구취수장 상수도원수의 염화이온 칼슘 마그네슘 농도의 연간변동에 대하여(1974년-1975년)

  • Published : 1978.06.01

Abstract

The contents of chloride ion, calcium and magnesium in Nagdong River water were determined at Mul Geum where the intake station for Busan city water is located. Samples were taken in spring and neap tides of every month from March 1914 to March 1975. The range and mean values of the chloride ion and total hardness were 5.12-39.4ppm, 11.9ppm; 27.8-70.8ppm, 49.5ppm respectively from March 1974 to January 1975. The highest values were found in the period of the widest tidal range of a year, from February 9 to March 9 in 1975, such as tile ranges and means of chloride ion and total hardness were 10.8-876 ppm, 89.8ppm : 48.0-407ppm, 89.9ppm. On several days of this period those concentrations were over the criteria of drinking water, 150 ppm in chloride and 300ppm in total hardness. Chloride ion concentration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water level of the Nagdong River at Mul Geum. The patterns of the variations of tide level were similar to that of water level with delay of 2.5 hours in spring tides and 3 hours in neap tides.

1. 1974년 3월에서 1975년 3월사이 매월 대조일과 소조일에 낙동강 물금 부산시 상수도 구취수장 원수의 염화이온, 칼슘, 마그네슘의 량을 매시간 측정하였다. 2. 1974년 3월에서 1975년 1월사이의 염화이온 농도는 5.12-39.4 ppm에 평균값이 11.9pm, 총 경도는 27.8-70.8 ppm에 평균값이 49.5ppm였고, 1975년 2월 9일에서 3월 7일까지의 조차가 큰 기간에는 염화이온농도 10.8-876 ppm에 평균값이 89.8 ppm, 총경도는 48.0-407 ppm에 평균값이 89.9 ppm였다. 3. 계절적으로는 동계에 농도가 높고 조차가 큰 2월과 5월초 사이가 가장 높다. 염화이온농도 150 ppm를 넘은 날이 모두 2월에 들어있다. 4. 총경도 역시 염화이온농도와 비슷한 변동을 한다. 수도법의 허용한계인 300ppm를 넘는날이 2월 9일에서 3월 7일 사이에 약 4 일 정도 나타난다. 5. 수위는 하천수량과 조위로써 정해지는 까닭에 수위만으로는 염화이온 농도를 알 수가 어렵지만 염화이온농도와 수위의 시간적 변동관계는 수위가 높을 때 농도가 높으며, 2월 및 3월에서 더욱 그러하다. 6. 조위와 수위와는 약간의 시차를 두고 거의 같은 모양의 변동을 하며 최고조위에서 최고수위까지 대조일에는 약 2시간 30분, 소조일에는 약 3시간의 차가 나타난다. 끝으로 수위와 조위자료를 제공해 주신 부산시수도사업소와 부산수로국에 감사드립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