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IN CONTENTS OF FORMALDEHYDE AND AMINES IN ALASKA POLLACK MUSCLE DURING DRYING

명태육 건조중의 formaldehyde 및 amine 류의 변화

  • Published : 1978.03.01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pattern in changes of trimethylamine oxide and related compounds in the muscle of Alaska pollack during drying, especially referred to formaladehyde and dimethylamine. Three kinds of dried samples of Alaska pollack, sun dried, hot-air dried, and salted-sun dried, were prepared and analyzed for their contents of trimethylamine oxide, trimethylamine, dimethylamine, and formaldehyde. The amount of trimethylamine oxide remained in the salted-sun dried sample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in the other two samples. In the content of trimethylamine, the hot-air dried sample showed an exceedingly high value shelving forty-two times higher than the raw sample while the other two samples showed barely three to four times content based on the raw sample. The dimethylamine content in the hot-air fried sample was comparatively lower than those in the other two samples, the former marked about ten folds of the raw sample's and tile latter showed about fifteen folds, respectively. Refering to the content of formaldehyde, it decreased to eighty-three percent of initial content in the hot-air dried sample. On the contrary, it increased about two times initial content in the other two samples, respectively. As a tendency, the formaldehyde content appeared increased or decreased correlatively with the dimethylamine content, whereas the case was reverse for the trimethylamine content.

북양산 냉동명태를 시료로 하여 이것을 일건, 열풍건조 및 염건을 하였을 때의 육중의 FA, TMAO, TMA 및 DMA의 함량변화를 조사하였다. 1. TMAO의 함량은 열풍건조품이 가장 적어 생시료때의 약 $60\%$에 지나지 않았고, 다음이 염건품이며, 일건품은 생시료때의 약 $72\%$함량으로 잔존율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온건품에 있어서 육중의 염분량을 공제한 무염물로 환산하는 경우는 생시료때의 $92\%$함량으로 가장 높은 잔존율을 나타내었다. 2. TMA의 함량은 염건품이 생시료 때의 2.3 배함량(무염물로서는 3.5배량)을 보여 가장 증가율이 적었고, 다음이 일건품이였으며, 열풍건조품에 있어서는 생시료 때의 42배함량을 나타내어 월등히 많았다. 3. DMA의 함량은 열풍건조품과 염건품에 있어서는 각각 생시료 때의 10배량정도를 나타내었고, 일건품에 있어서는 생시료 때의 16배량으로 가장 많았다. 그러나 염건품에 있어서 무염물로 환산하는 경우는 생시료 때의 15배량으로 일건품과 비슷한 값을 보였다. 4. FA의 함량은 일건품에서는 생시료 때의 1.3배량, 염건품에서는 2.5배량(무염물로 환산)으로 증가한 반명, 열풍건조품에 있어서는 생시료 때의 $83\%$ 함량으로 오히려 감소하는 변화를 보였다. 5. 전반적으로 FA 함량과 아민류의 함량을 비교하여 보면 FA함량이 많은 시료에는 DMA함량도 많은 대비하여, TMA함량이 많은 시료에는 FA함량이 적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