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mission of Jujube Witches'-broom Mycoplasma by the Leafhopper Hishimonus sellatus Uhler

대추나무 빗자루병(病)의 마름무늬매미충에 의(依)한 매개전염(媒介伝染)

  • La, Yong Joon (Dept. of Agricultural Biology,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Woo, Kun Suk (Dept. of Agricultural Biology,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라용준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농생물학과) ;
  • 우건석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농생물학과)
  • Received : 1980.09.20
  • Published : 1980.09.30

Abstract

This study was initiated to find out the possible insect vector and other means of transmission of jujube witches'-broom disease. 1. Eight species of leafhoppers were found to feed on both healthy and diseased jujube trees. Among these, rhombic marked leafhoppers (Hishimonus sellatus Uhler) were most abundant throughout the growing season of jujube trees in all localities surveyed. H. sellatus was far more abundant on diseased trees than healthy ones. 2. Jujube witches'-broom mycoplasma(JWM) was transmitted to jujube seedlings by Hishimonus sellatus. Jujube seedlings inoculated with H. sellatus which had been fed for 14-21 days on diseased jujube plants, developed smaller, chlorotic leaves 40-60 days after inoculation. Electron microscopy of midveins and petioles of the infected jujube seedlings revealed the presence of numerous mycoplasmalike organisms in phloem tissues. 3. Jujube witches'-broom mycoplasma was also transmitted to Vinca rosea plants by H. sellatus. Infected Vinca rosea plants developed vein clearing and marginal chlorosis of upper leaves 25-38 days after inoculation and followed by stunting and ultimate wilting and death of plant. Electron microscopy of petioles and midveins of infected Vinca rosea plant revealed the presence of numerous mycoplasmalike organisms in phloem tissues. 4. H. sellatus survived more than 30 days on jujube, Vinca rosea, carrot, celery, eggplant, hop, Calystegia japonica, Humulus japonicus, Astragalus sinicus, white clover, red clover, and radino clover. Many second generation nymphs of H. sellatus were also abserved on these plants but clovers. 5. Jujube seeds collected from witches'-broom diseased jujube trees yielded healthy seedlings.

대추나무빗자루병(病)의 전염경로(傳染經路)를 구명(究明)할 목적(目的)으로 실험(実驗)을 실시(實施)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대추나무에서 38종(種)의 가해충(加害虫)이 채집동정(採集同定)되었으며 이 중(中)에서 Mycoplasma의 매개가능성(媒介可能性)이 있는 흡수성(吸收性) 매비충류(類)는 8종(種)이었다. 이들 매미충류중(類中)에서 6~10월(月)까지 어느 지역(地域)에서나 발생밀도(發生密度)가 가장 높았던 종류(種類)는 마름무늬매미충이었고, 마름무늬매미충은 건전(健全)한 대추나무에서 보다 빗자루병(病)에 이병(罹病)된 대추나무에서 그 발생밀도(發生密度)가 훨씬 높았다. 2. 빗자루병(病)에 이병(罹病)된 대추나무분근묘(分根苗)에 14~21일간(日間) 흡즙(吸汁)시킨 마름무늬매미충을 대추나무실생유묘(實生幼苗)에 접종(接種)한 결과(結果), 접종(接種)을 개시(開始)한지 40~60일후(日后)에 상엽(上葉)이 소형화(小形化)하고, 황화(黃化)하는 이상증상(異常症狀)이 나타났다. 이들 상이증상(異常症狀)이 나타난 잎의 주맥(主脈)과 엽병조직(葉炳組織)을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으로 관찰(觀察)한 결과(結果), 사관(篩管)에서 Mycoplasma가 다수(多数) 검출(検出)되었다. 그러나 건전엽(健全葉)의 조직(組織)에서는 Mycoplasma 가 관찰(觀察)되지 않았다. 따라서 대추나무빗자루병(病)은 마름무늬매미충에 의(依)해 매개(媒介)된다는 사실(事実)이 구명(究明)되었다. 3. 대추나무빗자루병(病)의 검정식물(檢定植物)을 찾을 목적(目的)으로 마름무늬매미충의 식이식물(食餌植物)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대추나무, 일일초(日日草), 당근, 셀러리, 가지, 메꽃, 호프, 자운영, 한삼넝쿨 등에서 30일이상(日以上)의 장기간(長期間) 생존(生存)을 보였고, 또 이들 식물체(植物体) 상(上)에서 산란부화(産卵孵化)를 확인(確認)할 수 있었다. 4. 일일초(日日草)에 대추나무빗자루병(病) 보독(保毒) 마름무늬매미충을 접종(接種)한 결과(結果), 접종개시후(接種開始后) 25~28일(日)에 엽맥(葉脈)이 투화(透化)되고 잎이 황화(黃化)하는 이상증상(異常症狀) 나타났다. 이들 이상증상(異常症狀)이 나타난 잎을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으로 관찰(觀察)한 결과(結果), 사관(篩管)에서 Mycoplasma가 검출(検出)되었으나 건전엽(健全葉)에서는 Mycoplasma가 관찰(觀察)되지 않았다. 따라서 일일초(日日草)에 나타난 증상(症狀)은 마름무늬매미충에 의(依)해 매개(媒介)된 대추나무빗자루병(病) Mycoplasma의 감염(感染)에 의(依)한 것임이 확인(確認)되었다. 5. 대추나무빗자루병(病)에 걸린 나무에서 종자(種子)를 채취(採取)하여 본병(本病)의 종자전염여부(種子傳染与否)를 조사(調査)하였으나 종자전염(種子傳染)은 확인(確認)할 수 없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문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