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uence of Artificial Afforesta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 Forests to the Increase of Forest Protit

천연림(天然林) 보전관리(保全管理)와 인공조림(人工造林)이 임리증진(林利增進)에 미치는 영향연구(影響硏究)

  • Published : 1982.09.30

Abstract

1. 본(本) 조사(調査) 연구(硏究)는 천연림(天然林) 관리(管理)와 인공조림(人工造林)이 임이증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느냐? 라는 문제(問題)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으나 그 범위가 너무 막연(莫然)하여 다음과 같이 실제 시업중(施業中)인 경우를 대상지로 정(定)하여 비교(比較) 평가하여 보았다. 가. 우리나라 대표적(代表的)인 천연림(天然林) 활엽수 지대(地帶)에서 일정(一定)한 임지(林地)를 벌채(伐採)한 후 계속 천연갱신(天然更新)을 시도하고 있는 경우와 동일장소(同一場所) 인공조림(人工造林)을 하였을 경우 나. 우리나라 대표적(代表的)인 천연침엽수림(天然針棄樹林) 지대(地帶)에서 일정(一定)한 임지(林地) 벌채(伐採)한 후 계속 천연경신(天然更新)을 시도하고 있는 경우와 동일장소(同一場所)에 인공조림(人工造林)을 하였을 경우 다. 우리나라 대표적(代表的)인 침활수림 척박림(瘠薄林) 지대(地帶)에서 그 임지(林地)를 그대로 보존(保存)하였을 경우와 벌채(伐採)하고 적수(適樹)를 조림(造林)하였을 경우 등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2. 이와 같은 조사(調査) 연구결과(硏究結果)는 다음과 같다. 가. 2. 이와 같은 조사(調査) 연구결과(硏究缺課)는 다음과 같다. 가. 활잡 천연림(天然林)을 그대로 관리(管理)하였을 경우와 낙엽송(落葉松)을 조림(造林)하여 관리(管理)하였을 경우는 후자(後者)가 임이증진에 월등(越等)히 좋은 영향을 나타냈고 나. 우량(優良) 침엽수(針葉樹) 천연림(天然林)을 그대로 관리(管理)하였을 경우는 양자간(兩者間)에 큰 차이(差異)가 나지는 않았으나 역시(亦是) 후자(後者)의 경우가 임이(林利) 증지에 유리(有利)한 결과(結果)를 나타내고 있다. 마. 침활 천연(天然) 혼효림(混淆林)으로 그 임상(林相)이 불량(不良)한 경우 그 천연림(天然林)을 그대로 관리(管理) 보호(保護)하였을 경우와 리기다 소나무를 조림(造林)하여 관리(管理) 보호(保護)하였을 경우는 양자(兩者) 공(共)히 임이(林利) 증진에 별(別)로 좋은 영향을 냐타내지 않았으며 임이(林利) 증진의 목적(目的)보다도 임지(林地) 회복(回復)을 위한 조림(造林)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라. 척박림(瘠薄林)의 경우를 제외(除外)하고 본(本) 조사(調査) 대상이 된 모든 경우에 천연림(天然林)을 그대로 관리(管理)하는 경우보다 인공조림(人工造林)을 하여 정상(正常) 경영을 하는 경우가 임이(林利) 증진에 유리(有利)하다는 결과(結果)를 나타내고 있다. 마. 본(本) 조사(調査) 연구(硏究)의 목적(目的)이 천연림(天然林) 보존관리(保存管理)와 인공조림(人工造林)이 임이(林利)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보기 위한 것이었으나 이것은 너무 광범한 과제(課題)이므로 명(名) 경우에 따라 판단(判斷)지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本) 조사(調査)에서도 국한(局限)된 몇 경우를 조사(調査) 검토하기로 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