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작지(耕作地)의 비옥도(肥沃度) 차이(差異)에 따른 황색종(黃色種) 연초(煙草)의 시비반응(施肥反應)

Fertilizer Responses of Flue-cured Tobacco on the Soils of Different Fertility

  • 발행 : 1982.10.25

초록

1974년(年)부터 1981년(年)까지의 연초경작지별(煙草耕作地別) 각종(各種) 비료시험성적(肥料試驗成績)을 수집(蒐集), 정리(整理)하여 비옥도(肥沃度)가 상이(相異)한 경작지토양(耕作地土壤)에서의 무비구 수량별(收量別) 표준시비량(標準施肥量)(10-15-20, 125kg/10a) 시비시(施肥時)의 잎담배 수량(收量) 및 품질(品質)과의 관계를 검토(檢討)하였다. 무비구 수량(收量)이 높은 (비옥도(肥沃度)가 높은) 토양(土壤)일수록 수량(收量)은 대수곡선적인 증가를 보이나 품질(品質)은 저하(低下)하는 유의성(有意性)있는 상관을 보였다. 표준시비량(標準施肥量)이 적용(適用)되는 적정비옥도(適正肥沃度)는 무비구 수량(收量)이 81kg/10a되는 비옥도(肥沃度)를 갖는 토양(土壤)이며, 무비구 수량(收量)이 이보다 많은 경작지(耕作地)에서는 현시비추천량(現施肥推薦量)이 적량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무비구 수량(收量)을 기준(基準)으로 적정시비량(適正施肥量)을 추정(推定)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期待)되며, 더 나아가서 무비구 수량(收量)을 지배(支配)하는 환경요인(環境要因) 및 토양이화학적(土壤理化學的) 요인(要因)이 밝혀지면 이 인자(因子)로써 적정시비량(適正施肥量)을 추천(推薦)할 수 있는 평가방법이 구명(究明)될 것이다.

The data from the fertilizer experiments from 1974 to 1981 were compiled and interpretation were made as to the effect of soil fertility on the quality and yield of cured tobacco supplied with conventional rate (10-15-20, 125Kg/10a). With high soil fertility, the yield of tobacco with conventional rate increased in quadratic curve, but the quality decreased. The results indicate that soil which can produce 81Kg/10a of flue-cured tobacco without fertilizer application would be optimum to the 125Kg/10a fertilizer application. On the other hand, Flue-cured tobacco yields of non-fertilizer plot are supposed to be fertility of determining the application rate which can be recommend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