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the Changes of Reproductive Organs, Serum Sex Hormones and Metabolites according to the Gestation Period in Rabbit

가토(家兎)의 임신(姙娠)에 따른 생식기관(生殖器官), 혈중(血中) 성(性)Hormone 및 대사물질(代謝物質)의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 Lee, Kyu Seung (Dept. of Animal Science, Coll. of Agriculture, Chungnam Natl. Univ.) ;
  • Han, Sung Wook (Dept. of Animal Science, Coll. of Agriculture, Chungnam Natl. Univ.) ;
  • Park, Chang Sik (Dept. of Animal Science, Coll. of Agriculture, Chungnam Natl. Univ.)
  • 이규승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축산학과) ;
  • 한성욱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축산학과) ;
  • 박창식 (충남대학교 농과대학 축산학과)
  • Published : 1982.06.30

Abstract

The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oncentrations of sex hormones and the contents of metabolites in serum, and the changes of weights and tissues on ovary, thyroid gland and adrenal gland according to gestation period in rabbit.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ovary weight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the time e lapse after gestation and recovered normally at 5 days after parturition. In the histological changes of ovary, the lutein cells were hypertrophied and the secretory granules were increased actively until 3 weeks after gestation, and then a trophied thereafter. 2. The thyroid gland weights at all observation times were higher than those in control group, and the significance was recognized at 1, 3 and 4 weeks after gestation. The histological features of the secretory epithelium were the hyper trophic and columnar condition stimulating the functional state from 1 week after gestation. 3. The adrenal gland weights in experimental group were recognized significantly at 4 weeks after gestation, but showed higher than those in control group at all observation times. The zona fasciculata and zona reticularis of the gland showed the slight hypertrophic condition, but the zona glomeerulosa and adrenal medulla did not find out any particular changes. 4. The serum concentrations of progesterone and LH reached a peak level at 2 weeks and 1 week after geestation respectively, and rapidly began to decline thereafter. 5. The serum concentrations of estradiol-$17{\beta}$ and FSH were not detected below 20.0 pg/ml and 1.3 mIU/ml respectively. 6. The contents of total protein and non-protein nitrogen nitrogen were decreased gradually with the time elapse after gestation, bu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recognized from 3 weeks. 7. The total lipids were not changed markedly until 3 weeks, but increased significantly at 4 weeks after gestation and at 5 days after parturition. 8. The serum cholesterol tended to be decreased until 3 weeks, but increased at 4 weeks after gestation and at 5 days after parturition. 9. The serum calcium showed a continuous decrease during the gestation period, bu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recognized at 3 and 4 weeks. The serum phosphorus also had a significant decrease at 4 weeks after gestation.

가토(家兎)의 임신기간(姙娠期間)에 따른 난소(卵巢), 갑상선(甲狀腺) 및 부신(副腎)의 중량변화(重量變化)와 조직학적(組織學的)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하고 아울러 혈청중(血淸中)의 성(性) hormone농도(濃度)와 대사물질(代謝物質)의 함량(含量)을 분석(分析)하여 정상가토(正常家兎)와 비교검토(比較檢討)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난소(卵巢)의 중량(重量)은 임신기간(姙娠期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는 증가(增加)를 하였으며, 분만후(分娩後)에는 정상(正常)으로 회복(回復)되는 경향(傾向)이었다. 조직(組織)의 변화(變化)는 임신(姙娠) 3주후(週後)까지는 황체세포(黃體細胞)가 비대(肥大)되고 분비과립(分泌顆粒)의 형성(形成)이 매우 활발(活發)하였으나 그후(後)로는 퇴행성변화(退行性變化)를 보였다. 2. 갑상선(甲狀腺)의 중량(重量)은 모든 관찰시간(觀察時間)에서 대조군(對照群)에 비(比)하여 높은 값을 나타내었는데, 임신(姙娠) 1, 3 및 4주후(週後)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조직(組織)의 변화(變化)는 임신(姙娠) 1주후(週後)부터 상피세포(上皮細胞)의 비대(肥大) 및 엔주화(円柱化)를 나타내어 기능항진상(機能抗進像)을 보였다. 3. 부신(副腎)의 중량(重量)은 임신(姙娠) 4주후(週後)에서만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지만 모든 관찰시간(觀察時間)에서 대조군(對照群)에 비(比)하여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부신(副腎)의 조직(組織)에 있어서 색상대(索狀帶)와 강상대(綱狀帶)는 근소(僅少)한 기능항진상(機能抗進像)을 보였고, 구상대(球狀帶)와 수질(髓質)은 특별(特別)한 변화(變化)를 인정(認定)할 수 없었다. 4. 혈청중(血淸中) progesterone의 농도(濃度)는 임신(姙娠) 2주후(週後)에, LH의 농도(濃度)는 임신(姙娠) 1주후(週後)에 각각(各各) 최고치(最高値)를 보였고, 그후(後)로는 급속(急速)히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이었다. 5. 혈청중(血淸中) estradiol-$17{\beta}$와 FSH의 농도(濃度)는 각각(各各) 20.0pg/ml와 1.30mIU/ml이하(以下)의 수준(水準)이었다. 6. 혈청중(血淸中)의 총단백질(總蛋白質)과 비단백태질소(非蛋白態窒素) 화합물(化合物)의 양(量)은 임신기간(姙娠期間)이 경과(經過)될수록 계속(繼續) 감소(減少)하였는데, 임신(姙娠) 3주후(週後)부터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7. 혈청총지방량(血淸總脂肪量)은 임신(姙娠) 3주후(週後)까지는 큰 변화(變化)가 없었으나, 임신(姙娠) 4주후(週後)와 분만(分娩) 5일후(日後)에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는 증가(增加)를 보였다. 8. 혈청(血淸) cholesterol량(量)은 임신(姙娠) 3주후(週後)까지는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으로써 임신(姙娠) 3주후(週後)에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는 감소(減少)를 하였고, 임신(姙娠) 4주후(週後)와 분만(分娩) 5일후(日後)에는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는 증가(增加)를 나타내었다. 9. 혈청(血淸) calcium량(量)은 임신기간(姙娠期間)이 경과(經過)됨에 따라 계속(繼續)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는바, 임신(姙娠) 3주(週)와 4주후(週後)에는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다. 혈청인(血淸燐)의 함량(含量)은 임신(姙娠) 4주후(週後)에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는 감소(減少)를 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문교부